영어영문학과는 영어학과 영문학의 전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석사과정은 영문학 또는 영어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포괄적인 이해 능력을 계발하고 박사 과정은 특정 전문 분야의 심층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연구분야 | 개요 |
---|---|
영문학 | 영국문학, 미국문학, 비평이론 |
영어학 | 통사론, 음운론, 의미화용론 |
이름 | 직위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연구분야 | |
---|---|---|---|---|---|---|
유정완 | 교수 | 문학박사 |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 미국문학 | 미국문학, 미국학, 문학연구 | jyu2@khu.ac.kr |
John R. Eperjesi | 부교수 | 문학박사 | Carnegie Mellon University | 영문학 | 현대 영문학 | john.eperjesi@gmail.com |
박해일 | 부교수 | 언어학박사 |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 음운론 | 음성학, 음운론, 신경언어학, 인지심리학, 인지과학 | joypark@khu.ac.kr |
김종복 | 교수 | 언어학박사 | Stanford University | 통사론 | 통사론, 의미론, 전산언어학 | jongbok@khu.ac.kr |
김석 | 조교수 | 문학박사 | New York University | 영미문학 | 영국 문학, 미국 문학 | askpeer@khu.ac.kr |
조성관 | 조교수 | 문학박사 | University of Warwick | 영미문학 | 영미희곡, 셰익스피어 세미나, 연극과 공연 | sakta@khu.ac.kr |
박환희 | 부교수 | 문학박사 | Purdue University | 중세영문학 | 중세영문학, 영국시, 여성과 문학 | hwanheepark@khu.ac.kr |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교과목명(국문) | 교과목명(영문) | 내용 | 학점 |
---|---|---|---|
문학연구 방법론 | Research and Writing | 문학 연구자들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연구방법론 훈련과 글쓰기의 수사학적 연습을 목적으로 한다. | 3 |
16세기영시 | Sixteenth-Century English Poetry | Edmund Spencer와 Philip Sidney를 비롯한 르네상스시대 시인들의 중요 작품을 고찰하여 시대적 특징을 연구한다. | 3 |
17.8세기 영시 | Neo-Classical English Poetry | Dryden과 Pope를 중심으로 영국의 신고전주의 시대의 풍자시(Satire)의 변천과 문학이론을 탐구하고 중요 시인들의 작품을 연구한다. | 3 |
19세기 영시 | Nineteenth-Century English Poetry | William Wordsworth와 Samuel Coleridge를 중심으로 William Blake, Lord Byron, P. B.Shelley, John Keats의 시를 연구 고찰한다. | 3 |
빅토리아 영시 | Victorian Poetry | Alfred Lord Tennyson과 Robert Browning을 중심으로 빅토리아 시대의 시대 정신과 중요 작품들을 연구 고찰한다. | 3 |
20세기 영시 | Twentieth-Century British Poetry | Hopkins, Hardy 등에서 20세기 초 Ted Hughes, Seamus Heaney에 이르는 영국의 주요 시인들의 새로운 경향과 중요 작품들을 분석하고 토의한다. | 3 |
19세기 미국시 | Nineteenth-Century American Poetry | Poe, Emerson, Whitman, Dickinson 등 19세기 미국의 주요 시인들의 작품을 통하여 당시 미국 사회의 시대적 특징을 고찰한다. | 3 |
20세기 미국시 | Twentieth-Century American Poetry | Robert Frost, Ezra Pound, Wallace Stevens, Richard Wibur 등의 주요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 고찰한다. | 3 |
현대 영미시 특강 | Studies in Modern British & American Poetry | 필요에 따라 시론을 중심으로 영미 시인들을 깊이있게 연구한다. | 3 |
밀튼 세미나 | Seminar in Milton | Milton의 Paradise Lost 등 중요 작품들을 깊이있게 분석 고찰한다. | 3 |
형이상학시 | Metaphysical Poetry | John Donne을 비롯한 17세기 초 시인들의 새로운 경향을 현대 비평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 3 |
엘리어트 세미나 | Seminar in Eliot | T.S. Eliot의 초기 시를 비롯하여 The Waste Land, Four Quartets 등 주요 작품들을 깊이있게 분석 연구한다. | 3 |
페미니스트 시 세미나 | Seminar in Feminist Poetry | Anne Sexton, Adrienne Rich, Sylvia Plath등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여류시인들의 작품을 여성학적인 관점에서 분석 연구한다. | 3 |
예이츠 세미나 | W.B. Yeats Seminar | 동시대의 예이츠 비평과 대조해 The Collected Poems을 분석한다. 이 과정은 기예가로서의 시인을 강조하면서 특히 작시풍에 중점을 둔다. | 3 |
세이머스 히니 세미나 | Seamus Heaney Seminar | Ulster에서의 아일랜드 통일주의, 민족주의, 종파주의를 배경으로 Heaney의 주요시들에 대해 분석한다. | 3 |
토마스 하디 세미나 | Thomas Hardy Seminar |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하디의 시들을 집중 분석한다. | 3 |
19세기 유럽 소설 | Nineteenth-Century European Novel | 유럽의 모더니즘 이해에 핵심이 되는 프루스트, 토마스 만, 앙드레 지드, 앙드레 말로,사르트르 등의 작품을 다룬다. | 3 |
20세기 유럽 소설 | Twentieth-Century European Novel | 유럽의 모더니즘 이해에 핵심이 되는 프루스트, 토마스 만, 앙드레 지드, 앙드레 말로,사르트르 등의 작품을 다룬다. | 3 |
영화발달사 | History of Film | 예술로서의 영화에 대한 이해가 영문과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 그리고 학생들 간에도 그에 대한 흥미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요구를 수용하는 취지에서 시도하는 수업이다. | 3 |
서사로서의 영화 | Film as Narrative | 이야기를 영화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영화와 문학이라는 매체의 고유성에 대한 이해와 그 과정에서 생기는 어려움이 어떻게 해결되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영화의 서사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이다. | 3 |
18세기 영국소설 | Eighteenth-Century English Novel | Daniel Defoe, Samuel Richardson, Henry Fielding, Jonathan Swift를 비롯한 18세기 작가와 소설의 발생에 대해 다룬다. | 3 |
19세기 영국소설 | Nineteenth-Century English Novel | Jane Austen, Bronte 자매, Charles Dickinson, George Eliot, Thomas Hardy를 비롯한 19세기 작가와 작품을 다룬다. | 3 |
20세기 영국소설 | Twentieth-Century English Novel | Joseph Conrad, D.H. Lawrence, James Joyce, Virginia Woolf, E.M. Forster, John Fowles, Doris Lessing 등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작가들을 다룬다. | 3 |
19세기 미국소설 | Nineteenth-Century American Novel | Hawthorne, Melville, Twain, James, Morrison 등을 비롯한 19세기 작가와 작품을 다룬다. | 3 |
20세기 미국소설 | Twentieth-Century American Novel | Dreiser, Hemingway, Faulkner, Bellow, Mailer를 비롯한 20세기 작가의 작품들을 다룬다. | 3 |
리얼리즘 문학론 | Realism in Literature | 주로 19세기와 20세기 영·미 작가들 가운데 리얼리즘 작품들을 선정하여 읽는다. 리얼리즘의 정의, 영역, 작가, 작품들을 알기 위해 개별 작품과 이론서를 함께 읽는다. | 3 |
모더니즘 문학론 | Modernism in Literature | 20세기의 영미 작가들 가운데 모더니즘 계열을 선정하여 읽는다. 모더니즘의 정의, 영역, 작가, 작품들을 알기 위해 작품과 이론을 함께 공부한다. | 3 |
포스트모더니즘 문학론 | Post modernism in Literature | 20세기 후반의 영미 작가들 가운데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을 읽는다. 남미나 이태리 등 제 3세계의 작품들도 포함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영역, 작가, 작품을 알기 위해 작품과 이론을 함께 공부한다. | 3 |
소설이론 | Theory of Novel | Russian Formalism, Lubbock, Forster, Booth, Todorov, Genette, Girard, Cohn, Stanzel 등20세기의 소설이론을 공부한다. | 3 |
작가 혹은 주제별 세미나 | Seminars in Writers and Topics | 헨리 제임스, 조이스, 포크너 등 영미의 주요 작가들을 다룬다. | 3 |
작가 혹은 주제별 세미나 Ⅱ | Seminars in Writers and Topics Ⅱ | 영어권의 중요 작가들까지 포함하여 작가별 세미나를 다룬다. | 3 |
작가 혹은 주제별 세미나 Ⅲ | Seminars in Writers and Topics Ⅲ | 영화와 서사, 여성비평, 해체비평, 유럽 문학 등 주제별 세미나를 다룬다. | 3 |
문화 이론과 비평 | Cultural Theory and Criticism | 문화비평의 역사와 관례를 살펴보고 최근의 문화이론과 비평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는지 알아본다. 프로이트와 마르크스를 비롯한 선행 이론들과 실제 작품들의 분석을 함께 다룬다. | 3 |
고전희곡 | Classical Drama | 영·미 드라마의 기본이 되는 그리스, 로마시대의 드라마를 중심으로 하고, 셰익스피어를 제외한 엘리자베스 시대까지의 드라마를 연구한다. | 3 |
현대 영국 희곡 | Modern British Drama | G.B.Shaw의 후기 작품을 비롯, W.B. Yeats, J.M. Synge등 Irish작가들의 작품, T.S. Eliot의 시극, 현대 부조리 연극의 모델을 제시한 S. Beckett, Harold Pinter등의 작품을 연구한다. | 3 |
현대 미국 희곡 | Modern American Drama | Eugene O 'Neill을 비롯하여 T. Wilder, A. Miller, T. Williams, W. Saroyan 등 20세기의 대표적인 미국 작가와 그들의 작품을 연구한다. | 3 |
세계희곡 | World Drama | 현대 영미 드라마에 영향을 준 프랑스의 신고전주의 작가들(코르네이유, 몰리에르, 라신느 등)을 비롯하여 북구의 Ibsen, Strindberg, 러시아의 Chekhov, 독일의 Hauptmann이나 Brecht 등 현대 연극의 조류를 볼 수 있도록 한다. | 3 |
19세기 영국 희곡 | Nineteenth-Century British Drama | Oscar Wild와 G.B. Shaw의 전기작품 등 19세기 영국작품의 연구와 이들이 현대 작품에 끼친 영향을 연구한다. Jacobean과 Restoration Drama, 16, 17세기의 대표적 복수극과 희극을 다루고, Tourneur, Webster, Middleton 등의 비극과 Etherege, Wycherley, Congreve등의 희극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 3 |
영미극 연구 | Studies in British &American Drama | 영국과 미국의 희곡 작품들을 전반적으로 읽고 이해한다. | 3 |
중세 영문학 | Medieval English Literature | Norman Conquest(1066)를 중심으로 구분되는 Old English 시대의 대표적 작품인 Beowulf, 애가 (Elegy), 종교시 등과 Middle English 시대의 대표 작품들,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Piers the Plough-man, The Canterbury Tales, Everyman, The Second Shepherds Play를 분석하고 중세 문학의 가치, 그 현대적 수용 등을 연구한다. | 3 |
초오서 | Chaucer | - | 3 |
서사문학 | The Great Epics | 서사시의 기원인 Homer의 Iliad, Odyssey부터 Virgil의 Aeneid 그리고 유럽대륙의 대표적 서사시들, Beowulf, The Song of Roland, Nibelungenlied와 동양의 가장 오래된 The Gilgamesh 등을 읽고 서사문학의 특징, 발생, 영웅관 등을 연구한다. | 3 |
고전시학 | Classical Literary Criticism | 서양문학론의 토대가 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시학과 비평이론들을 강독 및 세미나의 방식으로 학습한다. 주 텍스트는 플라톤의 <국가론>, <페드러스>, <이온>, <법률>,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등이며 호레이스의 시론도 첨가된다. | 3 |
르네상스 비평 | Renaissance Criticism | 고전시대 이후 중세-르네상스기의 주요 서양 문학이론을 다룬다. 필립 시드니, 알렉산더 포우프, 사무엘 존슨까지가 이 과정에 포함된다. | 3 |
영국 근대비평 | Modern British Criticism | 영국 낭만주의 문학론과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영국 문학 비평을 다룬다. 코울리지, 쉘리, 워즈워드, 아놀드, 리비스, 엠슨, 리처즈 등이 포함된다. | 3 |
미국 근대비평 | Modern American Criticism | 19세기 말에서 신비평까지의 미국 비평이론과 비평사를 학습한다. 하월즈, 헨리 제임스, 힉스 등과 신비평이론이 포함된다. | 3 |
기호시학 | Structural-Semiotic Poetics | 구조시학, 기호시학, 문체론 등 유럽 현대문학의 이론과 방법론, 실제비평 등을 다룬다. 소쉬르, 러시아 형식주의, 야콥슨, 레비 스트로스, 바르뜨, 에코, 토도로프, 컬러, 스콜즈, 리파테르 등의 논조와 문체론의 방법을 다룬다. | 3 |
맑시즘 비평 | Marxist Literary Theories | 맑스, 엥겔스, 레닌의 단편적 문학론들로부터 시작하여 20세기 전후반에 걸쳐 진행된 맑시즘의 주요 문학론을 다룬다. 루카치의 사실주의론,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미학 알튀세, 마셔레이의 이데올로기 비평, 윌리암스의 문화주의, 이글턴의 정치비평, 제임슨의 총체적 해석이론 등이 총체적으로 다루어진다. | 3 |
해체비평 | Deconstructionist Criticism | 자크 데리다의 해체론이 제기한 비평이론과 방법을 바탕으로 해체론적 비평의 여러 가능성을 검토하고 실제 분석에의 적용을 연습한다. | 3 |
정신분석비평 | Psychoanalytic Theories of Literature | 프로이트 이후 정신분석학이 문학연구에 기여한 이론적, 방법론적 공헌과 통찰들을 정리, 학습한다. 그러나 이 과목의 목적은 정신분석 그 자체가 아니라 정신분석학적 방법의 문학적 원용에 있으므로 프로이드와 라캉의 텍스트들 중에서 문학연구와 문학교육 및 비평담론의 유용한 것들만을 교재로 다룬다. | 3 |
해석학 | Contemporary Hermeneutics | 텍스트의 의미 해석을 둘러싼 현대의 이론적 쟁점들은 텍스트, 저자, 독자 또는 해석집단의 해석권위에 집중되어 있다. 이 과목은 이 같은 쟁점들을 가다머의 해석이론, 허쉬의 저자이론,이저/피쉬의 독자수용론 등으로 나누어 검토하여 문학 텍스트의 해석학적 접근법을 학습한다. | 3 |
여성비평 | Feminist Criticism | 현대 비평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여성비평의 여러 입장과 방법들을 다룬다. 맑시즘, 해체론,정신 분석학 이론 등은 여성 비평의 세 가지 이론 모태들이므로 이 과목은 이들 세 가지비평이론들을 선수 과목으로 부과한다. | 3 |
현대주의 문학론 | Modernist Asethetics | 20세기 초반 영국과 유럽에서 발생한 모더니즘 문학운동의 이론적 바탕과 창작 기법 등을 이론 텍스트와 실제 작품의 강독 세미나를 통해 연구 학습한다. 모더니즘의 예술적 성과와 실패, 연장과 단절,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등도 이 과정의 검토대상으로 포함된다. | 3 |
비교문학론 | Comparative Perspective in Literature | 비교문학의 영역은 현재 우리 학계에서 초보적 탐색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미답지이다. 이 과정은 비교문학의 이론적 바탕, 전망, 방법론 등을 검토할 목적으로 개설된 것이다. | 3 |
고전강독 | Reading in Classics | 서양 인문학의 뿌리가 된 주요 희랍 고전들과 근대 서양 고전들을 섭렵하기 위한 과정이다. 박사과정 이수자들에게 기본적으로 요청되는 학제간 전망과 지적 지평의 확대를 목적으로하며, 문학, 철학, 역사, 사회, 문화예술 등의 주요 고전들을 읽는다. | 3 |
비평연습 | Practice in Criticism | 영미 문학작품의 실제 비평을 연습하고 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된 과목이다. 작품 분석, 훈련, 비평작업, 문학사 기술 방법 등이 주요 내용으로 되어있다. | 3 |
영미작가론 | Seminars in Major Writers and Poets | 영미 문학의 주요 작가 시인들에 대한 강독과 세미나 과정이다. 면밀한 작품 읽기와 분석, 비평, 평가 등을 목적으로 한다. | 3 |
셰익스피어 로망스 | Shakespearean Romance | 셰익스피어의 로망스 장르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읽고 로망스 개념의 특질을 논의한다. | 3 |
셰익스피어 비평과 이론 | Shakespearean Criticism and Theory | 셰익스피어 비평의 흐름과 경향을 연구한다. | 3 |
서사 이론 | Narrative Theory | 이야기(서사)는 인간의 근원적 욕망 가운데 하나이다. 서사는 소설을 비롯한 모든 이야기체를 통합한 것으로 서술양식과 정치의식을 함께 연구한다. | 3 |
문학과 영화 | Literature &Film | 소설기법과 영화기법의 공통점과 차이점, 소설을 영화로 만들 때 고려되어야 하는 점, 두 장르사이에 적용되는 문화이론, 분석 방식 등을 연구한다. | 3 |
탈식민주의와 문학 | Post-Colonialism and Literature | 20세기 후반부에 나타난 중심주의 해체와 그것의 산물인 탈식민주의를 문화이론과 문학작품을 통해 연구한다. 그리고 식민주의의 허구성을 살펴본다. | 3 |
다문화주의와 문학 | Multi-Culturalism and Literature | 최근 문화흐름 가운데 두드러진 특징인 다문화 현상의 철학적 근거와 미학적 이해를 비평이론과 실제 작품을 통해 알아본다. | 3 |
비교문학 I | Comparative Literature I | 문학을 다양한 문화권, 시대, 학문 분야, 및 동-서(사상)에 걸쳐 비교연구하고 철학 및 자연과학 등의 타 학문 영역과의 학제간 비교연구 가능성을 광범하게 탐색한다. "비교문학 I"은 기초 과정으로 비교문학 연구의 다양한 가능성/방법론을 연구한다. | 3 |
비교문학 II | Comparative Literature II | 비교문학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제로 작가/작품들 간의 비교, 작가들과 이론가들의 비교, 문학 사조/이론들 간의 비교, 문학(이론들)과 철학(사상들) 간의 비교를 실습한다. 또 동-서 간의 비교문학적, 비교철학적 연구 가능성을 모색한다. | 3 |
문학과 철학 | Literature and Philosophy | 현대 문학의 중심적인 화두인 모더니즘/모더니티,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티의 문제와 관련되어 빈번히 논의되는 헤라클리투스, 데카르트, 니체, 후설, 하이데거, 소쉬르, 데리다, 푸코, 라캉, 들뢰즈의 철학, 그리고 영-미의 관념론, 실재론, 분석철학 및 실용주의/기호학 등이 문학에 끼친 영향, 또는 상호 관련성 등을 연구한다. | 3 |
문화연구 | Cultural Studies | 동-서의 다양한 문화 이론들을 연구하고 비교 대조한다. 특히 현대에 와서 주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는 전(全)지구적 자본주의 문화(론)들, 이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문화론들 및 전통적인 여러 문화론들 간의 역학 관계를 검토한다. | 3 |
기호학 I | Semiotics I | 현대 기호학의 양대 축인 (歐洲의) 페르디낭 드 소쉬르와 (美洲의) 찰즈 샌더즈 퍼스의 기호학, 그리고 이 둘의 입장을 절충하고 있는 움베르토 에코의 기호 이론을 연구한다. | 3 |
기호학 II | Semiotics II | 소쉬르, 퍼스, 에코 등의 기호 이론과 현대의 여러 (문학) 비평이론(가)들의 기호/의미/해석의 이론들을 비교연구하고, 이를 작가 및 작품 연구에도 도입한다. 또 현대 비평이론의 주요 관심사가 되어 있는 텍스트(성), 상호텍스트(성), 및 해체철학 등과의 관계도 연구한다. | 3 |
문학과 생태학 | Literature and Ecology | 생태학의 성격과 연구 방법론들, 문학연구와의 관련성들을 탐색한다. | 3 |
영미 여성작가 연구 | British and American Literature by Women | Gender, class, sexuality 등을 중심으로 하여 영미 여성작가들을 다룬다. (Aphra Behn, E.B. Browning, Bronte, Woolf, Perkins Gilman, Rich, etc.) | 3 |
여성문학전통 연구 | Seminar on Tradition of Women Literature | 영미 및 영어권의 여성 작가들의 작품(시, 소설, 일기, 편지 등)을 통해 여성문학전통의 성격과 특색을 연구한다. | 3 |
중세 로맨스 | Medieval Romance | 로맨스의 구조적 특징과 주제, 불란서 로맨스가 영국 로맨스에 끼친 영향 등을 공부하고 대표적인 로맨스 작품들을 읽고 분석한다. | 3 |
중세극 연구 | Medieval Drama | 중세극의 역사, 공연, 특징 등과 르네상스극과의 관련성을 공부하고 대표적 중세극을 읽고 연구한다. | 3 |
셰익스피어 세미나 | Shakespeare Seminar | 작품을 각 행 단위로 정독하면서 원문비평과 해석비평의 쟁점들을 중심으로 토론을 진행한다. 수강자는 각자 주제를 정해 발표 가능한 연구논문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 3 |
셰익스피어 과제연구 | Special Topics in Shakespeare | 셰익스피어의 수용, 현대비평의 경향, 연구와 교육의 방법론 등 중에서 특정과제를 선정하여 | 3 |
서사이론 I | Narrative Theory I | 서사는 소설을 비롯한 모든 이야기체를 통합한 양식이다. 서술양식과 정치의식을 함께 연구한다. 이 과정은 서사이론 연구의 1단계에 해당한다. | 3 |
서사이론 II | Narrative Theory II | 서사는 소설을 비롯한 모든 이야기체를 통합한 양식이다. 서술양식과 정치의식을 함께 연구한다. 이 과정은 서사이론 연구의 2단계에 해당한다. | 3 |
서사이론 III | Narrative Theory III | 서사는 소설을 비롯한 모든 이야기체를 통합한 양식이다. 서술양식과 정치의식을 함께 연구한다. 이 과정은 서사이론 연구의 3단계에 해당한다. | 3 |
언어와 문화 | Language and Culture | 언어, 문화 및 문화의 관련성을 정의하고 이중문화와 이중 언어를 비교한다. 특히 자국언어와 문학의 번역, 타국의 작품독해, 창작 등의 문제를 고찰한다. | 3 |
언어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s in Linguistics | 셰익스피어를 사극, 희극, 비극 등의 순서로 읽으면서 장르 개념을 이해하고 방법론을 계발한다. | 3 |
통사론Ⅰ | SyntaxⅠ | 언어학의 목표, 원리, 방법론 및 언어 연구의 역사를 다룬다. | 3 |
통사론Ⅱ | SyntaxⅡ | 영어의 통사 체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통사론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을 다룬다. | 3 |
통사론 세미나 | Seminars in Syntax | 통사 구조에 대한 전통적인 이론과 현대의 이론을 비교 평가한다. | 3 |
통사론 주제연구 | Topics in Syntactic Theory | 통사론의 주요 부면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 3 |
어휘론 | Lexical Theory | 통사론 연구의 최근 동향을 검토하고 하나의 언어 이론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 3 |
전산언어학 | Computational Linguistics | 언어 이론에 있어서의 어휘부의 위상, 어휘부의 내부조직, 사전 편찬의 원리 등을 다룬다. | 3 |
영어통사구조연구 | Research in English Syntactic Structure | 자연 언어 처리, 번역, 음성 인식과 합성 등 언어학의 컴퓨터 응용의 기본 사항을 다룬다. | 3 |
음운론Ⅰ | PhonologyⅠ | 고급 통사론 연구로서 영어의 특정 구문을 선택하고 이를 특정 언어 이론의 관점에서 | 3 |
음운론Ⅱ | PhonologyⅡ | 음운론의 제 문제와 이해를 중심으로 주요 연구를 검토하여 실제적인 음운분석 훈련을 한다. | 3 |
음운론 세미나 | Seminar in Phonology | 최근 발전된 새로운 음운 이론을 소개하여 그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연구에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 본다. | 3 |
음운론 주제연구 | Topics in Phonological Theory | 음운론의 이론을 실제 논문작성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훈련을 한다. 또한 음운론과 형태론 등 다른 문법 분야와의 상호 연관성도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 3 |
영어음운 형태구조 연구 | English Phonology and Morphology | 최신 음운론의 제이론을 주제별로 나누어 그 특성을 검토하고 실제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그 타당성과 문제점 등을 분석한다. | 3 |
형태론 | Morphology | 형태론적 제약을 받는 영어의 음운규칙을 분석하여 음운론과 형태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 3 |
의미론Ⅰ | SemanticsⅠ | 언어이론과 사회 언어학적 현상에 대한 관련성을 중심으로 연구 방법론과 주제 등에 대해 | 3 |
사회 언어학 | Sociolinguistics | 음성학 연구에 관한 주요 이론을 중심으로 그 타당성을 비교하여 음성학과 음운론과의 관계, 음성인식 등 음성학의 응용문제 등을 검토한다. | 3 |
음성학 세미나 | Seminar in Phonetics | 조음, 음성, 청음, 음성학 등 전반에 걸친 주요 연구 결과를 분석한다. 또한 음성학과 음운론의 상호관계에 대한 검토도 병행한다. | 3 |
일반음성학 | General Phonetics | 형태론의 제 문제와 방법론을 연구한다. 특히 언어에 따른 단어의 구성상 특성과 조어법의 유형을 분석하여 어휘부의 모형과 조어과정에 대한 일반성을 포착한다. | 3 |
의미론Ⅱ | SemanticsⅡ | 의미론의 기초 과목으로서 의미를 연구하는 기본 방법 및 개념들을 형식, 비형식적인 면에서 포괄적으로 다룬다. | 3 |
의미론 세미나 | Seminar in Semantics | 형식의미론의 기본적인 개념인 진리, 진리조건, 지시 등을 다루고 자연언어에 적용되는 의미론적 현상 및 분석 방법을 공부한다. | 3 |
의미론 주제연구 | Topics in Semantics | 최근 언어학 및 철학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의미 이론들을 섭렵하여 각 이론의 장, 단점을 이해하도록 한다. | 3 |
역사 언어학 | Historical Linguistics | 의미론에서 중요한 연구분야-양화사, 일반양화사, 논리형태, 복수 사건 등을 깊이 있게 다룬다. | 3 |
응용언어학 | Applied Linguistics | 언어의 생성, 소멸에 대해 연구하는 기초적인 방법을 익힌다. | 3 |
심리 언어학 | Psycholinguistics | 문체론, 번역이론, 외국어 교육이론, 언어정책 등에 있어서의 일반 언어이론의 적용가능성을 연구한다. | 3 |
영어교육연구 | Seminar in English Teaching | 의사소통 체계에 대한 심리학적, 언어학적 이론과 연구방법 등을 연구한다. | 3 |
언어학사 | History of Linguistics | 영어교육에 관한 다양한 논문을 연구한다. 현장에서의 경험과 방법론에 관한 새로운 이론 등을 폭넓게 검토한다. | 3 |
영문법 연구Ⅰ | English GrammarⅠ |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언어이론을 연구한다. 비교문법 이론과 구조주의 이론, 변형문법이론 등을 폭 넓게 검토하여 발달과정을 관찰한다. | 3 |
영문법 연구Ⅱ | English GrammarⅡ | 영문법의 주요 현상들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3 |
영어 구문 연구 | English Syntactic Constructions | 영문법 및 영문법 이론의 주요 부면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3 |
통사 이론 연구 | Syntactic Theories | 영어에 있어서 중요 구문들을 조사 연구하며 제 문제점들을 살펴본다. | 3 |
영문법 주제 연구 | Topics in English Grammar | 주요 현대 통사이론들을 비교 연구하고 이들 이론들이 영어의 주요 구문을 분석하는데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본다. | 3 |
영어 음성학 특강 | English Phonetics | 영문법의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연구 토론한다. | 3 |
어휘론 특강 | Special Lectures in the Structure of the Lexicon | 영어 음성학에 관련된 주요 현상과 이론들을 비교 연구한다. | 3 |
언어습득론 | Language Acquisition | 어휘부 구축을 위해 고려해야 할 문제점과 최신 이론들의 장단점을 연구한다. | 3 |
심리언어학 특강 | Special Lectures in Psycholinguistics | 모국어 및 제 2외국어의 언어 습득에 관련된 제반 문제들을 공부한다. | 3 |
인지과학 특강 | Cognitive Science | 언어와 인지 구조, 언어 습득과의 상관 관계를 연구한다. | 3 |
셰익스피어 | Shakespeare | 인지과학과 언어학의 상관 관계 및 인지언어학의 제반 문제들을 살펴본다. | 3 |
화용론Ⅰ | PragmaticsⅠ | 의미, 화용론의 기초과목으로서 의미론 및 화용론을 연구하는 기본 방법 및 개념들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 3 |
화용론Ⅱ | PragmaticsⅡ | 의미, 화용론의 중요 개념 및 의미 화용론에 있어서의 주요 현상 및 분석 방법을 공부한다. | 3 |
화용론 세미나 | Seminar in Pragmatics | 현대 의미, 화용론 이론들을 비교 분석하고 이들 이론들의 장단점을 연구하여 연구 방법론을 살펴본다. | 3 |
화용론 주제연구 | Topics in Pragmatics | 현대 의미 화용론에 있어서 주요 현상과 제 문제점들을 살펴본다. | 3 |
한국영어교육사 | History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 한국 외국어교육사의 관점에서 한국 영어교육의 역사를 시대별로 조명한다. | 3 |
영어교육사 주제연구 | Topics in the History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 국내 및 국외를 망라하여 영어교육사의 특정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다. | 3 |
제2언어습득과 생성문법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Generative Grammar | 원리 및 매개변인 이론을 상정하는 생성문법적 관점에서 제2언어습득의 주요 부면을 다룬다. | 3 |
제2언어습득 주제연구 | Topic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제2언어습득의 특정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다. | 3 |
영문법교육론 | English Grammar Pedagogy | 영문법교육과 관련된 주요 방법론의 장단점을 다룬다. | 3 |
영문법교육 주제연구 | Topics in English Grammar Pedagogy | 영문법교육과 관련한 특정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다. | 3 |
대화분석 | Conversation Analysis | 방법론을 소개한다. | 3 |
대화분석과 영어교육 | Conversation Analysis and English Teaching | 응용언어학적 시각에서 대화분석이 영어학습과 습득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본다. | 3 |
담화와 영상영어교육 | Discourse and Teaching English through Media | 영어 영화, 드라마, TV 토크쇼 및 뉴스 등 영상매체를 통해 제시되는 영어를 영어학습 및 교재개발에 반영시키는 방안을 모색한다. | 3 |
영어스토리텔링과 영어교육 | Storytelling in English and English Education | 영어담화 맥락에서 발화되는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체계성을 관찰하고 이를 영어교육에 접목시키는 안목을 기른다. | 3 |
담화 화용론 | Discourse Pragmatics | 화자와 청자가 상호작용적으로 담화를 구축해 나가는 화용적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문법과 상호작용(interaction)의 관계를 조명한다.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