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캠퍼스

닫기

국제캠퍼스

닫기

주거환경학과

  • 수여학위명 : 주거환경학석사, 주거환경학박사
  • 사무실 : 서울캠퍼스 생활과학대학관 2층 통합학과사무실
  • TEL : (02) 961-0256
  • FAX :
  • E-Mail : hcf21@khu.ac.kr
  • Homepage : http://che.khu.ac.kr/housing/

교육목적

본교 이념인 문화세계창조를 구현하고,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유기적인 관계를 이해하며 일상생활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주거 및 제반환경에 대해 교육·연구함으로써 21세기의 주거문화창조에 이바지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주거환경학과 대학원 프로그램은 전문지식, 리더쉽, 창의성을 갖춘 우수인력을 양성하여 궁극적으로 주거환경을 통한 인간과 사회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고, 이를 위해 다학제간적인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통섭의 인프라를 구축한다.

개황 및 연혁

http://che.khu.ac.kr/?page_id=259

연구분야 및 개요

연구분야 개요
- 연구분야 및 개요 산업체와 사회의 전문인력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4가지 영역의 전공심화과정이 있으며, 각 영역별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차별화된 교과과정을 운영한다. 실내디자인/실내코디네이션, 주택설계/주택상품개발, CAD/디자인컴퓨팅, 주거사/주거사회심리, 주택관리/주거자산관리, 시설관리 교수의 연구영역 간 교류를 확대하고 산업체 및 연구소의 실무진을 겸임교수로 채용하여 학문의 전문성을 제고한다. [신설] BK21 Four 초고령사회 플랫폼 기반 고령서비스-테크 사업단의 주거환경학과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 (AgeTech-Service Convergence Major) 과정 http://agetech.khu.ac.kr/ 『4단계 BK21사업』으로 선정된 본 융합전공 과정은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플랫폼기반 사람 중심의 고령서비스-테크 문제해결형 혁신인재 양성을 목표로 교내 노인학과, 의학영양학과, 의학과, 전자공학과, 주거환경학과의 5개 학과가 협력하여 운영하는 특화전공입니다.

전임교원

이름 직위 학위 학위수여대학 전공 연구분야 E-Mail
김준하 조교수 Ph.D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시설관리(FM) 통합시설관리, 대체작업장 junhakim@khu.ac.kr
배수연 조교수 Ph.D University of Minnesota 실내디자인 노인 주거, 인간공학, 거주 후 평가 sbae@khu.ac.kr
이현정 교수 Ph.D University of Minnesota 주택정책 및 지역개발 주택시장, 주거복지, 도시주거관리 ecohousing@khu.ac.kr
조지영 부교수 Ph.D University of Missouri 환경행태 공간디자인 디자인과정, 환경심리, 스마트주거 jcho@khu.ac.kr
주서령 교 수 Ph.D 서울대학교 건축계획 주거계획, 주택상품개발, 동남아시아 주거 jcl@khu.ac.kr
오혜경 명예교수 MFA Art Institute of Chicago 실내디자인 실내디자인, 실내코디네이션 ohk@khu.ac.kr
홍형옥 명예교수 Ph.D 고려대학교 주거사 주거사회심리, 주거사 hong1215@khu.ac.kr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을 안내드립니다.

교과목개요

교과목명(국문) 교과목명(영문) 내용 학점
석사논문지도Ⅰ Master 's Thesis Ⅰ - 2
석사논문지도Ⅱ Master 's Thesis Ⅱ - 2
석사논문지도Ⅲ Master 's Thesis Ⅲ - 2
박사논문지도Ⅰ Doctoral Thesis Ⅰ - 2
박사논문지도Ⅱ Doctoral Thesis Ⅱ - 2
박사논문지도Ⅲ Doctoral Thesis Ⅲ - 2
통계분석1 Statistical Analysis I 주거환경학 연구를 준비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의 처리, 통계분석기법, 연구가설 검증 등을 학습하며, 사회과학분야의 대표적인 통계프로그램을 직접 다룬다.
This course examines statistical procedures and analytical tools that focus on strategies and techniques to apply statistical concepts and to evaluate research studies.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for data analysis are emphasized.
3
주거환경학 연구방법론1 Research Methodology in Housing and Interior Design 주거환경학 분야의 다학제간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의 유형 및 연구절차를 학습하며, 연구설계작성, 연구논문작성, 연구윤리를 다룬다.
This course is an overview of research methods used in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nd covers philosophical foundations that underlie a scientific approach to social research. Also, it includes research design, problem formulation, sampling, measurements, data collection, writing research proposal, and research ethics.
3
주거환경학 연구방법론2 Advanced Research Methods in Housing and Interior Design - 3
개별연구지도1 Independent Study 1 석사과정생을 위해 마련된 교과목으로,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연구를 수행한다.
This course is guided individual reading or study available for master 's students
3
개별연구지도2 Independent Study 2 - 3
주거시설관리특론 Special Topics on Integrated Housing Facility Management 주거시설관리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FM 기능의 실용적 지식을 개발하기 위해 통합 FM 에 대해 공부한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FM) needed to develop practical knowledge of FM functions to ensure high quality delivery of services for optimized housing facility management.
3
주거시설관리연구 Advanced Studies on Housing Facility Management - 3
주택정책 및시장연구 Housing Policy and Market Analysis 주택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주택정책과 시장을 거시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 정치, 경제, 사회 인구학적, 문화적 요인에 따른 미시적 반응과 결과를 분석한다. 주택과 도시문제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위해 관련 제도와 그 변화를 살펴보고, 각종 부문과 이해관계 당사자들 간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한다. 또한 글로벌 사회에서 국가별 주택시스템을 고찰하고 현안을 논의하며 주택문제의 개선안을 도출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housing system in political, economic, socio-demographic and cultural contexts. To address housing and urban issues of welfare states, the interrelationships of policy, market and finance are required. With interactions among different sectors and interests among various stakeholders, housing system become dynamic and produces diverse outcomes and responses to globalization. Also, this course highlights comparative studies of housing systems in this regard.
3
주거자산개발및관리특론 Property Development and Management 주택시장에서의 주거가치를 이해하고, 자산운용기제로서의 주택개발, 소비, 관리에 대한 각종 금융 및 세제를 파악하고, 주거자산의 기능을 다룬다. 또한, 최근 국내외 주거자산시장의 동향을 파악하여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검토하여 향후 주거자산관리시장을 예측한다
with the hypermobility of labor and capital,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development in property spur. This course covers all phases of the lifecycle of property from developed, and the relevant issues in relation to individual property investment portfolios are examined including financing, taxation and valuation.
3
주거사회학 특수과제 Housing and Society 주거사회학적인 접근방법과 쟁점에 대해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개념구조를 분석하고 각 접근방법에서 가능한 연구모델을 만들어 검토하고 관련 논문들을 리뷰며, 특히 사회조사연구를 구체적으로 연구모델로 만들어 진행한다.
Analyzing conceptual framework of various approaches about issues on housing sociology with theoretical basis. Review the related articles and practice the social survey research with questionnaire.
3
한국주거사연구 Special Topics in Korean Housing History 한국의 주거의 발생부터 현재까지 역사의 전개과정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나왔고 변화되어 나갈 것인지 미시적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가족제도사, 여성사적인 발전과정과 연계하여 이해한다.
Evolution of housing history in Korea is extensively examined, principal housing issues at different eras are closely discussed, and innovative approaches to an understanding of socio-psychology in relations to housing are evaluated.
3
실내디자인사연구 History of Interior Design 고대에서 현대까지 다양하게 변화해 온 실내건축과 장식미술의 역사를 그 시대의 문화, 사회, 경제 및 정치적 배경을 중심으로 실내구성요소, 가구, 장식, 디테일 등을 고찰함과 동시에 역사적 디자인에 대한 현대적 이해와 그 수용 및 적용 가능성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architectural elements and furnishings in history of interior design focusing on their cultural,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factors. The current interpretation of these designs will be researched.
3
실내코디네이션특수과제 Interior Coordination Studio 실내의 다양한 스타일을 이해하고 이들 스타일을 표현하기 위한 재료의 선택 및 조합의 연습을 통해 구체적인 공간에서 실제 코디네이션이 이루어 졌을 때 이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This course introduces various interior styles and improve students ' abilities to be successful in interior coordinations by practicing material selections and mixes.
3
다국적주택연구 Housing Design and Culture in a Global World - 3
주택공간연구 Design Studies on Residential Spaces - 3
디자인사고특론 Design Studies 디자인 프로세스 및 방법론을 연구하고 디자인 이론을 깊이 있게 배움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적 디자인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고 연구에 대한 통찰력을 증진시킨다.
This course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esignedly’ ways of knowing and thinking emerged in design education and enhances the students’ creative cognition in design and insight into their own research.
3
미래주거연구 Advanced Studies on Future Housing 미래주거공간 계획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래주거공간 연구방법을 개발하고 세계적인 미래주거 연구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주거공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This course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future housing and research methods relevant to future housing studies. A wide range of future housing project will be investigated and analyzed.
3
실내디자인특수과제 Interior Design Studio 주거공간이나, 시설공간등 공간에 관련되 사회적, 경제적,심리적 문제에 대해 다각적으로 조사, 연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철저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나감으로써 합리적인 디자인에 접근하도록 한다.
Advanced study of interior design in a studio setting through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strong design ideas. Pojects include specific design situations with emphasis on implementation of all phases of the design process.
3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