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캠퍼스

닫기

국제캠퍼스

닫기

무용학과

  • 수여학위명 : 무용학 석사
  • 사무실 : 서울캠퍼스 무용학부관 2층 201호
  • TEL : (02) 961-0539, 0541
  • FAX : (02) 961-0542
  • E-Mail : dance@khu.ac.kr
  • Homepage : http://dance.khu.ac.kr/

교육목적

대학원 무용학과는 경희대학교의 교육이념인 문화세계의 창조라는 교육이념 하에 전인교육, 정서교육, 과학교육, 민주교육을 통한 지도자 양성의 대학원 교육목적을 토대로 과학과 예술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창조적인 예술활동인 공연과 이론을 겸비한 우수한 전문 무용인을 배출해냄으로써 인류 사회의 정서에 기여할 수 있는 석학을 육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황 및 연혁

http://dance.khu.ac.kr/

연구분야 및 개요

연구분야 개요
발레 고전발레를 기초로 한 철저한 테크닉연구와 아울러 포스트 모더니즘적 모던발레의 창작연구에 주안점을 둔다.
무용이론 이론전공은 무용에 대한 포괄적이며 이론 및 예술학, 민속학, 경영학 등 교육을 풍부하게 병행하여 무용미학, 예술사조, 공연예술경영 등 각 분야에서 다방면의 지식과 소양을 갖춘 이론 지향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둔다.
한국무용 전통무용과 신무용이 남겨준 무용형태를 재해석하는 의미에서 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창작무용계열의 작품을 비교, 분석하는 가운데 한국무용의 올바른 진로를 모색한다.
현대무용 창작법·즉흥법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현대무용사, 현대무용공연제작이론, 현대무용테크닉, 안무법, 예술관련 분야와 융복합, 커뮤니티 댄스, 무용사회복지, 마케팅, 저작권 등의 다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 확대
무용치료 무용치료 전공은 대체 의학적 관점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의학의 관점에서 착안된 기무(氣舞) 프로그램을 활용한 무용학과 한의학의 융합을 시도하는 한국적 무용치료학의 연구영역이다. 따라서 인문학, 의학, 심리학, 한의학, 기능학, 해부학 등과 같은 다양한 학문과 무용움직임 방법론의 융합을 시도하여 현대 사회에서 무용의 치료적 역할 및 효과에 관한 연구에 중점을 둔다.

전임교원

이름 직위 학위 학위수여대학 전공 연구분야 E-Mail
윤미라 교수 공연예술학박사 성균관대학교 한국무용 한국무용 안무법 aurora@khu.ac.kr
김영미 교수 무용학박사 경희대학교 현대무용 무용기능학, 바디얼라인먼트 petal_ny@daum.net
안병주 교수 무용학박사 동덕여자대학교 무용이론 무용학 무용인물사 무용미학 dancefan@hanmail.net
김지영 교수 러시아 바가노바 학교 발레 발레 실기, 창작 발레 안무법 jyballet78@hotmail.com
박명숙 명예교수 이학박사 한양대학교 현대무용 현대무용 안무법 현대무용사 scdc305@hanmail.net
김화례 명예교수 이학박사 명지대학교 발레 발레 안무법 무용사회학 khrye52@hanmail.net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을 안내드립니다.

교과목개요

교과목명(국문) 교과목명(영문) 내용 학점
예술사회학 (Artistic Sociology) 쾌락주의. 허무주의에서 시작하여 고전주, 낭만주의, 자연주의, 사실주의, 표현주의와 현대
예술사조의 갖가지 영향과 특색을 분석, 고찰하는 예술원론이다.
This course is the principle of arts to analyze and study various influence and features of the modern trends of art from hedonism, nihilism to classicism, romanticism, naturalism, realism, and expressionism.
3
무용철학 및 미학 (Dance Philosophy and Aesthetics) 현대 철학에서 새롭게 조명 받는 해체철학을 중심으로 한 무용미학연구에 주안점을 둔다. 특히 포스트 모더니즘의 횡행이란 무질서를 전태미학적 무용표현에 접근시키기 위한 철학적 탐색을 연구의 기본으로 삼는다.
This course places emphasis on the dance aesthetics focusing on deconstructionism
which is newly noticed in modern philosophy. Especially, basic research of this course is philosophical inquiry into chaos, the rampancy of post modernism, and its approach to aesthetical dance expression.
3
안무법연구Ⅰ (Choreographic ResearchⅠ) 공연계획, 대본, 안무, 분장, 무대장치 및 단과적인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공연기획 선정, 공연흥행 등등 일체에 대한 방법등을 연구한다.
작품실습을 통해 얻어진 형상원리와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무대에 실현함에 따라 종합예술활동으로서의 실기적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on the methods of various features of art performances such as selection of plans and its practical performance focusing on planning, scripts, choreography, stage settings, and the fragmentary theoretical background. Choreography is researched from the practical aspect as a composite art through performing on the stage based on the principle and knowledge of dance expression with practical trainings.
3
안무법연구Ⅱ (Choreographic ResearchⅡ) 공연계획, 대본, 안무, 분장, 무대장치 및 단과적인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공연기획 선정, 공연흥행 등등 일체에 대한 방법등을 연구한다.
작품실습을 통해 얻어진 형상원리와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무대에 실현함에 따라 종합예술활동으로서의 실기적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on the methods of various features of art performances such as selection of plans and its practical performance focusing on planning, scripts, choreography, stage settings, and the fragmentary theoretical background. Choreography is researched from the practical aspect as a composite art through performing on the stage based on the principle and knowledge of dance expression with practical trainings.
3
실용음악연구 (Dance Music Research) - 3
무용연출 (Dance Production) 시대의식의 구체적 형형이라고 할 수 있는 작가의 정신체계가 시대의식으로서의 가치관에
어떻게 수용되고 변형되는가에 대한 일련의 맥락을 심리적 측면에서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on a choreographer 's mental structure, specific penetration of the zeitgeist, and its historical context how it is embraced and changed by values as the zeitgeist from the psychological aspect.
3
안무법연구Ⅲ (Dance Music ResearchⅢ) - 3
무용평론Ⅱ (Dance Criticism) 비평과 감상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바르고 정확한 감상은 바로과 정확한 비평의 기저가된다.
본 교과목은 무용비평의 원리, 비평을 위한 작품에의 접근방법, 비평의 유형과 그 장단점 등을 심층있게 고찰합으로써 비평예술과 창조예술의 혼화로운 조화와 상부상조의 이상을 현현해 갈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목적 아래 개설된 교과목이다.
Criticism is premised on appreciation. Therefore, honest and precise art appreciation is the basis of accurate criticism. This course studies the principles of dance critique, approaches to performances for critique, types of critique and its pros and cons in depths for developing the capacity of harmonizing criticism arts with creative arts and realizing ideal of mutual help.
3
논문작성법연구 (The Method of Writing Thesis) 논문이 갖추어야할 단계별 작성법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the methods of writing thesis by stages.
3
무용세미나 (Dance Seminar) 동서양의 작품 및 동양을 연구하고 기존 논문 및 작품을 대상으로 한 안무가의 창작기반을 분석하며 논리적인 조형기반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으로 무용지도법 등 다양한 현 무용계의 교과과정을 세미나 형식으로 이끌어간다.
This course is a seminar to study various modern dance curricula including dance instruction, and aims to research on eastern and western performances and their trends, analyze existing theses and performances about choreographers ' bases of creativity, and develop logical formative ability.
3
민속무용연구 (Folklore Dance Research) 민속무용의 개념 및 의의, 당면과제 등 한국민속무용에 관한 개괄적 고찰을 통하여
민속무용연구의 방법을 모색하고 작품실습을 통한 전통의 흐름과 한국춤의 근원에 관한
세부적인 특성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eeks the method of folklore dance through overall consideration about folklore dance such as its concepts, significance and challenges, and studies specific features of the flow of tradition and the origin of Korean dance with practical trainings.
3
명작무실습 (Workshop in Masterpiece) 사단법인 한국무용협회에서 8류파별 명작무로 선정한 작품실습을 통하여 창작자의
표현의지를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masterpieces of eight schools selected by Dance Association of Korea, and analyzes creators ' intention of expression and research into each feature.
3
무보연구 (Dance Notation Research) 무용기록법의 역사를 소개하고 무용동작의 형상원리와 현대의 발달된 무용기록법을 통해 동작의 기본적 이해와 동작분석을 연구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history of dance notation and studies basic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movements in dancing through the formative principles of dance movement and the developed modern dance notation.
3
한국무용사Ⅱ (Korean Dance HistoryⅡ) 우리나라 고유의 무용발전에 걸친 사적 고찰 및 한국무용이 갖는 특성과 시대별 작품에
담겨있는 사상을 연구하여 깊이 있는 한국무용의 견해를 갖고 한국창작무용으로서의 새로운
이념과 방법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aspects of Korean dance throughout its development history, and ideas in performances of each age to research into new concepts and methods as Korean creative dance with in depth view on Korean dance.
3
현무용사Ⅱ (Modern Dance HistoryⅡ) 사조의 바탕을 현대적 감각에 두고 현대무용으로서의 새로운 이념과 방법으로 새로운 무용을 창조해가려는 활동이자 체제이며 그결과 현현되어진 실제연구.
This course is a practical study of activities and structures of creation of new dance with new concepts and methods as modern dance based on the modern trends of arts.
3
발레사Ⅱ (Ballet History Ⅱ) 사회와의 연계성을 통하여 발레와 자매예술인 무대미술의 변천사를 고찰하고 발레발전에 업적을 남긴 시대인물에 관하여 세밀하게 분석한다.
This course studies history of ballet and its sister arts, stage art, through social connectivity and closely analyzes historical figures who have accomplished results in history of ballet.
3
발레워크샾 (Workshop in Ballet) 발레실기, 발레감상법, 발레의 이해 및 발레와 관계괸 타 장르를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고도의 테크닉 분석과 이론, 실습을 깊이 있게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analysis, theories, and practical training of high ballet techniqu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training for practice,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ballet, and other genres related to ballet.
3
발레표현기법 (Ballet Styles Expression Techniques) - 3
현대무용세미나 (Seminar in Contemporary Dance) - 3
현대무용워크샾 (Workshop in Contemporary Dance) 현대무용 창작에 있어서 한 주제 아래 team teaching을 통한 실습으로 세밀하게 연구한다.
This course closely studies creation of modern dance under the specific theme through practice of team teaching.
3
공연제작Ⅱ (Dance ProductionⅡ) 본 강의는 무용공연의 무대화를 위한 테크닉컬 요소와 실질적인 요소들을 다루고 그 요소들에 필요한 인접분야를 다룸으로 무대현장화에 도움을 주는 실질적이고 행정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course aims at getting practical and administrative knowledge of staging by dealing with technical and practical aspects for staging dance performances and related areas required to such aspects.
3
논문지도 Ⅰ (Thesis Research Ⅰ) 학위청구논문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쓸 수 있도록 지도한다.
This course aims at writing thesis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2
논문지도 Ⅱ (Thesis Research Ⅱ) 학위청구논문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쓸 수 있도록 지도한다.
This course aims at writing thesis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2
논문지도 Ⅲ (Thesis Research Ⅲ) 학위청구논문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쓸 수 있도록 지도한다.
This course aims at writing thesis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