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캠퍼스

닫기

국제캠퍼스

닫기

공연예술학과

  • 수여학위명 : 무용학 박사, 예술경영학박사
  • 사무실 : 서울캠퍼스 무용학부관 2층 201호
  • TEL : (02) 961-0539, 0541
  • FAX : (02) 961-0542
  • E-Mail : dance@khu.ac.kr
  • Homepage : http://dance.khu.ac.kr/

교육목적

본 대학원 공연예술학과에서는 경희대학교의 교육이념 하에 전인교육, 정서교육, 과학교육 그리고 민주교육을 통한 지도자 양성의 대학원 교육목적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과학과 예술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창조적인 예술활동과 공연과 이론을 겸비한 우수한 전문 무용인을 배출해 내고 예술경영인을 배출하여 인류사회의 정서에 기여할 수 있는 석학을 육성해 내려는데 있다.

개황 및 연혁

http://dance.khu.ac.kr/

연구분야 및 개요

연구분야 개요
무용학 무용학전공 Curriculum을 근간으로 무용학의 중심 논제를 연구·토론함으로써 여러 측면에서 다양하게 접근하여 무용의 학문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역사학·민속학·철학·사회학·인류학·심리학·예술학·기능학·동작분석학 등 연구방법론이 다르고 특성이 다양한 학문분야를 무용학과 연계시켜 함께 아우를 수 있는 연구의 장이 되고자 한다. 무용학에 대한 현안을 찾아내어 분석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도출해 본다.
예술경영학 예술경영학 전공은 예술경영의 관점에서 이슈가 될 수 있는 시안들을 심도있게 파악·분석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해 발전적인 연구방향을 설정해 나가고자 한다. 따라서 예술경영에 있어서 장르 간 상호영향관계를 고찰하는 가운데 문화예술정책 및 문화 마케팅, 예술기획, 예술경영과 관련된 제반 현안을 다루고, 서로 다른 영역의 이해와 교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종전의 연구방법 외에 근래에 대두한 기호학, 독자반응이론 등과 같은 최초의 연구성과들을 통하여 연구방법들을 모색한다.

전임교원

이름 직위 학위 학위수여대학 전공 연구분야 E-Mail
윤미라 교수 공연예술학박사 성균관대학교 한국무용 한국무용 안무법 aurora@khu.ac.kr
김영미 교수 무용학박사 경희대학교 현대무용 무용기능학, 바디얼라인먼트 petal_ny@daum.net
안병주 교수 무용학박사 동덕여자대학교 무용이론 무용학 무용인물사 무용미학 dancefan@hanmail.net
김지영 교수 러시아 바가노바 학교 발레 발레 실기, 창작 발레 안무법 jyballet78@hotmail.com
박명숙 명예교수 이학박사 한양대학교 현대무용 현대무용 안무법 현대무용사 scdc305@hanmail.net
김화례 명예교수 이학박사 명지대학교 발레 발레 안무법 무용사회학 khrye52@hanmail.net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을 안내드립니다.

교과목개요

교과목명(국문) 교과목명(영문) 내용 학점
무용사특론1 Theory of Dance History1 중국과 일본과 동남아시아 지역등에서 전승되는 향토무용에 대한 민속의 역사적 흐름을 고찰하고 연구함으로 토착적인 춤의 기본움직임을 통하여 그에 제반되는 악기, 노래, 의상 등 여러측면에서 다양하게 접근해 본다. This course studies folklore dances in Southeast Asia such as China, Japan, and traditional flow of their customs through basic movements of the folklore dance and musical instruments, songs, costumes related in various ways. 3
무용사특론2 Theory of Dance History2 중국과 일본과 동남아시아 지역등에서 전승되는 향토무용에 대한 민속의 역사적 흐름을 고찰하고 연구함으로 토착적인 춤의 기본움직임을 통하여 그에 제반되는 악기, 노래, 의상 등 여러측면에서 다양하게 접근해 본다. This course studies folklore dances in Southeast Asia such as China, Japan, and traditional flow of their customs through basic movements of the folklore dance and musical instruments, songs, costumes related in various ways. 3
무용사특론3 Theory of Dance History3 중국과 일본과 동남아시아 지역등에서 전승되는 향토무용에 대한 민속의 역사적 흐름을 고찰하고 연구함으로 토착적인 춤의 기본움직임을 통하여 그에 제반되는 악기, 노래, 의상 등 여러측면에서 다양하게 접근해 본다. This course studies folklore dances in Southeast Asia such as China, Japan, and traditional flow of their customs through basic movements of the folklore dance and musical instruments, songs, costumes related in various ways. 3
공연예술작가연구1 The Study of Major Performing Artists1 학생들은 그들의 특정한 관심영역 중에서 현대의 주요 공연예술인 한 사람을 극작가, 연출가, 안무가, 작곡가, 이론가 또는 배우, 무용수, 연주자 가운데서 선정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뒤 기말에 결과를 제출하여야 한다. Students select and study one of the major performance artists today such as a playwright, director, choreographer, composer, or actor, dancer, performer from students ' specifically interested areas and submit the result at the end of a semester. 3
공연예술작가연구2 The Study of Major Performing Artists2 학생들은 그들의 특정한 관심영역 중에서 현대의 주요 공연예술인 한 사람을 극작가, 연출가, 안무가, 작곡가, 이론가 또는 배우, 무용수, 연주자 가운데서 선정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뒤 기말에 결과를 제출하여야 한다. Students select and study one of the major performance artists today such as a playwright, director, choreographer, composer, or actor, dancer, performer from students ' specifically interested areas and submit the result at the end of a semester. 3
공연예술작가연구3 The Study of Major Performing Artists3 학생들은 그들의 특정한 관심영역 중에서 현대의 주요 공연예술인 한 사람을 극작가, 연출가, 안무가, 작곡가, 이론가 또는 배우, 무용수, 연주자 가운데서 선정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한 뒤 기말에 결과를 제출하여야 한다. Students select and study one of the major performance artists today such as a playwright, director, choreographer, composer, or actor, dancer, performer from students ' specifically interested areas and submit the result at the end of a semester. 3
무용학강론 Dance Seminar 빠르게 변화해가는 학문영역에서 무용학의 넓어진 학문적 영역과 연구 실태를 파악하고 최근의 트랜드와 박사과정생들의 관심분야를 토의하고 그에 따른 각 분야별 연구 현황과 자신들만의 의미있는 연구영역을 되짚어 볼 수 있는 수업이 될 것이다. In the scholarship changing quickly, the class wold understand academic domain of Studies of Dance and discuss the recent trand and interest area of the people in the doctoral course. As a result, the students would look back each sectorial state of research and significant research field for each one. 3
한국무용전공연구 Korean Dance Major 창작실습을 통해 얻어진 형상원리와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무대에 실연함에 따라 종합예술 활동으로서의 실기적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Ballet as composite ar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y presenting it on the stage based on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knowledge learnt from creation practice. 3
한국무용세미나1 Seminar in Korean Dance 1 우리나라 고유의 무용발전에 걸친 사적 고찰 및 한국무용이 갖는 특성과 시대별 작품에 담겨있는 사상을 연구하고 깊이 있는 한국무용의 견해를 통해 한국창작무용으로서의 새로운 이념과 방법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aspects of Korean dance throughout its development history, and ideas in performances of each age to research into new concepts and methods as Korean creative dance with in depth view on Korean dance. 3
한국무용세미나2 Seminar in Korean Dance 2 우리나라 고유의 무용발전에 걸친 사적 고찰 및 한국무용이 갖는 특성과 시대별 작품에 담겨있는 사상을 연구하고 깊이 있는 한국무용의 견해를 통해 한국창작무용으로서의 새로운 이념과 방법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aspects of Korean dance throughout its development history, and ideas in performances of each age to research into new concepts and methods as Korean creative dance with in depth view on Korean dance. 3
한국무용세미나3 Seminar in Korean Dance 3 우리나라 고유의 무용발전에 걸친 사적 고찰 및 한국무용이 갖는 특성과 시대별 작품에 담겨있는 사상을 연구하고 깊이 있는 한국무용의 견해를 통해 한국창작무용으로서의 새로운 이념과 방법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aspects of Korean dance throughout its development history, and ideas in performances of each age to research into new concepts and methods as Korean creative dance with in depth view on Korean dance. 3
한국전통무용연구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전통무용의 정재무, 민속무, 향토무, 의식무 등의 종류를 분석하고 그 이면의 정신세계에 접근하여 민족의 슬기와 향기를 통해 우리춤의 근본으로 하는 방향을 삼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This course analyzes various typ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such as court dance, folklore dance, folk dance, ritual dance, and approaches its spiritual aspects inside to help ethical wisdom and custom to be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3
현대음악론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Music 비조성 음악의 다양한 현상들을 몇몇의 주류로 나누어 그 특징과 사상적 배경들을 분석,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and analyzes aspect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various music phenomena in non-tonal music with several main streams. 3
현대희곡론 Modern Drama 현대 영미 드라마에 영향을 준 프랑스 신고전주의 작가들(고르네이유, 몰리에르, 라신느 등) 을 비롯하여 북구 Ibsen, Strindberg, 러시아의 Chekhov, 독일의 Hauptmann이나 Brecht등 현대 연극의 조류를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현대 희곡의 발달 과정을 통시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그 가치를 규명한다. This course studies the main stream of modern theatre such as Ibsen, Strindberg in Northern Europe; Chekhov in Russia; Hauptmann, Brecht in Germany, etc, and neoclassic writers (Corneille, Moliére, Racine, etc.) who affected English and American Soap operas today. In addition, development of modern theatre will be diachronically studied and analyzed to examine its value. 3
무대의상과분장 Stage Costume and Make-up 예술 의상과 분장을 종합예술로서 표현도록 하기 위하여 인체와 예술성 표현하는 관계를 개성있게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This course develops students ' ability to express the feature of the relation between the human body and artistic quality to represent stage costumes and make-up as composite art. 3
기호학연구 The Study of Semiotics 인체에 있어서 머리, 몸통, 상지, 손, 발의 기능을 이해시키고 그에 따른 상징적, 미적 표현에 관한 것을 연구하고 움직임을 통해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현상들을 연구한다. This course comprehends functions of a head, body, arms, hands and feet, and studies various phenomena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s with their symbolic and aesthetic expression. 3
공연예술세미나1 Seminar in Performing Arts1 독자적 연구 능력이 있는 학생들로 하여금 담당 교수의 지도 아래 공연예술의 특수문제에 대한 과제 수행 및 연구를 하도록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th independent research ability study and work on projects about specific matters in performance art under the guidance of the professor. 3
공연예술세미나2 Seminar in Performing Arts2 독자적 연구 능력이 있는 학생들로 하여금 담당 교수의 지도 아래 공연예술의 특수문제에 대한 과제 수행 및 연구를 하도록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th independent research ability study and work on projects about specific matters in performance art under the guidance of the professor. 3
공연예술세미나3 Seminar in Performing Arts3 독자적 연구 능력이 있는 학생들로 하여금 담당 교수의 지도 아래 공연예술의 특수문제에 대한 과제 수행 및 연구를 하도록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th independent research ability study and work on projects about specific matters in performance art under the guidance of the professor. 3
예술철학 Philosophy of Arts 전통적인 심신 이원론 속에서 평가되어왔던 무용의 의미로부터 신체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케 한 현상학의 등장 이후 오늘날 철학자, 무용학자들 사이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무용의 중심적인 가치개념들을 살펴봄으로써 무용의 존재본질을 밝히는데 필요한 철학적 이론들을 연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philosophical principles to inquire into the nature of existence of dance by examining major concepts of dance which are actively discussed among philosophers and professors in dancing today, after the appearance of phenomenology which led the meaning of dance to be recognized from traditional mindbody dualism to new concept of the body. 3
무용기능학 Topic in Dance Kinesiology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기계적 원리와 방법을 적용하여 움직임의 효과적인 기술적 습득과 교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그럼으로서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시켜 학습에 도움을 주게 됨은 물론 인체의 안전을 위한 상해예방에 기여한다. 또한 보호장비, 도구 등 환경과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This course comprehends body structure and its function, and leads students ' to technically learn and correct their movements with mechanical principles and methods. Therefore, improvement of motor performance skills not only helps students learn better but also contributes to the prevention of injury. In addition, Students can learn how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men and environment such as protective gears or related devices, etc. 3
무용테크놀러지 Dance Technology 무용에 있어서 고도의 기술적인 면을 습득하거나 공연예술에서 첨단과학 분야의 도임 등 무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법론을 연구한다. This course inquires into methodology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dance such as acquirement of high-level dance technology or introduction of advanced science in art performance. 3
무용동작분석 Analysis of Movement and Notation 인체에 있어서 머리, 몸통, 상지, 손, 발의 기능을 이해시키고 그에 따른 상징적, 미적 표현에 관한 것을 연구하고 움직임을 통해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현상들을 연구한다. This course comprehends functions of a head, body, arms, hands and feet, and studies various phenomena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s with their symbolic and aesthetic expression. 3
무용평론연구 Dance Criticism 비평은 감상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바르고 정확한 감상은 바르고 정확한 비평의 기저가 된다. 본 교과목은 무용비평의 원리, 비평을 위한 작품에의 접근방법, 비평의 유형과 그 장·단점 등을 심층있게 고찰함으로서 비평예술과 창조예술의 혼화로운 조화와 상부상조의 이상을 현현해 갈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목적 아래 개설된 교과목이다. Criticism is premised on appreciation. Therefore, honest and precise art appreciation is the basis of accurate criticism. This course studies the principles of dance critique, approaches to performances for critique, types of critique and its pros and cons in depth for developing the capacity of harmonizing criticism arts with creative arts and realizing ideal of mutual help. 3
무용작품분석 Analysis a work of Art 무용예술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에서부터 문화적인 배경에 대한 해석까지를 포괄하는 강의로 움직임, 미술, 음악, 연극적 요인 등과 같은 테크니컬한 분서과 함께 무용작품의 의미화의 과정에서 필요한 해석학점 관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This course covers from technical analysis about various factors in the art of dancing to interpretation about its cultural background. This course aims at improving comprehension of hermeneutical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making meaning of work of arts with technical analysis such as kinetic, aesthetic, musical, theatrical factors. 3
신체학 Body 신체와 정신을 융합한 신체 요법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신체요법들을연구해보는데 목표를 둔다.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concepts of physical therapy which harmonizes body and mind, and investigate various physical therapies. 3
작가론 Theory of Artists 공연예술을 기반으로 창작, 실연, 기획의 전반에 걸친 예술가와 현장 전문가들을 위한 인턴쉽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게 될 본 강의는 각기 가진 특성과 능력을 배양시키고 그 결과물을 공연과 출판, 전시 등의 여러 방법으로 결과물을 도출해 보는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로서의 활동을 더 증대 시키고 무용학과 공연예술 경영학의 유대관계와 교류를 증진시키며, 여러 가지 역할경험을 해봄으로써 타 분야와의 통합과 접목, 교류 또한 활발해 질것이라고 기대한다. 실적적인 공연예술의 출연, 조명, 무대, 연출, 기획, 재정, 기록, 대본, 음악, 안무, 홍보, 마케팅등의 역할을 경험해 봄으로써 종합예술 공연과 전시, 출판에 대한 더 넓은 이해를 통해 성공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과 평가를 통해 실질적인 대안을 찾고 이것을 해결해 보는데 본 강의의 목적이 있다 하겠다. This course is an internship course dealing with creation, staging, planning based on the performing art for artists and professionals, and aims to develop individual features and ability and draw the results in various forms such as performance, publication, or exhibition. Therefore, integration, mixture, and interchange with other areas are expected through working as professionals, promoting interchange and relations between dancing and performing art management, and experiencing diverse roles. Students get to experience various roles of acting, lighting, stage setting, directing, planning, financing, notating, script writing, music composing, dancing, PR, marketing, etc, to achieve their successful goals with widened comprehension about composite art, exhibition, and publication. In addition, this course aims to find and estimate problems related to performing arts, and seek practical substitutes and solve the problems. 3
예술사회학연구1 Artistic Sociology Research1 쾌락주의. 허무주의에서 시작하여 고전주의, 낭만주의, 자연주의, 사실주의, 표현주의와 현대예술 사조의 갖가지 영향과 특색을 분석 고찰하는 예술원론이다. This course is the principle of arts to analyze and study various influence and features of the modern trends of art from hedonism, nihilism to classicism, romanticism, naturalism, realism, and expressionism. 3
예술사회학연구2 Artistic Sociology Research2 쾌락주의. 허무주의에서 시작하여 고전주의, 낭만주의, 자연주의, 사실주의, 표현주의와 현대예술 사조의 갖가지 영향과 특색을 분석 고찰하는 예술원론이다. This course is the principle of arts to analyze and study various influence and features of the modern trends of art from hedonism, nihilism to classicism, romanticism, naturalism, realism, and expressionism. 3
현대문화예술사조 Modern Cultural Trends in Art Thoughts 원시시대부터 고대,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역사속의 무용의 발자취를 인류문홪거 관점에서 개관하고 업적을 남긴 무용가들의 서양무용의 그 발생에서부터 변천의 형태 및 역사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서 무용의 역사가 인류학적 측면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조명해 본다. This course inquires into the meaning of history of dancing in an anthropological view by surveying the course of dancing in world history from primitive ages to ancient, medieval, modern times and today, and examining western dance of remarkable dancers and its origination, changes and historical background. 3
공연예술세미나 Seminar in Performing Arts 독자적 연구 능력이 있는 학생들로 하여금 담당 교수의 지도 아래 공연예술의 특수문제에 대한 과제 수행 및 연구를 하도록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th independent research ability study and work on projects about specific matters in performance art under the guidance of the professor. 3
문화연구1 Cultural Studies1 문화연구(Cultural Studies)는 민족적, 국가적, 사회적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한 급진적이고 비판적인 접근의 성향을 지닌다고 할수 있다. 본 강좌는 대중문화, 테크노문화, 디지털문화, 미디어문화 등의 하위문화를 비롯하여 예술과 이데올로기에 관한 갖가지 주제들과 심지어 일상생활의 평범한 문제들에 이르기까지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들을 논의하고 그 통찰력을 신장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Cultural studies have characteristics of radicalism and criticism to comprehend the ethical, national and social identity. This course aims at discussing general concepts about culture and developing insight into it from the subculture including mass culture, techno culture, digital culture, and media culture, to various themes about arts and ideologies and any common matters in everyday life. 3
문화연구2 Cultural Studies2 문화연구(Cultural Studies)는 민족적, 국가적, 사회적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한 급진적이고 비판적인 접근의 성향을 지닌다고 할수 있다. 본 강좌는 대중문화, 테크노문화, 디지털문화, 미디어문화 등의 하위문화를 비롯하여 예술과 이데올로기에 관한 갖가지 주제들과 심지어 일상생활의 평범한 문제들에 이르기까지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들을 논의하고 그 통찰력을 신장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Cultural studies have characteristics of radicalism and criticism to comprehend the ethical, national and social identity. This course aims at discussing general concepts about culture and developing insight into it from the subculture including mass culture, techno culture, digital culture, and media culture, to various themes about arts and ideologies and any common matters in everyday life. 3
학술연구동향및제문제 Research Trends & Issues 토의, 그룹작업, 사례연구 및 분석, 참고문헌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진행될 것이다. 대상은 전문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현재적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토론한다.This course will deal with various methods including discussion, group work, case study and analysis, and reference study. Students will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journals and thesis and discuss current related issues in depth. 3
공연현장연구 Performing Fieldwork 극장과 공연예술에 필요한 기본 요소, 즉 공연을 하는 공연자(아티스트), 공연에 필요한 소재(대본), 공연을 하기위한 장소(극장), 관객이 그것이다. 이 네가지 요소들에 대한 현장체험과 세미나형식의 강의진행을 통해 수강생들에게 문화의 세기, 공연예술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고취시킴은 물론 특히 공연장이나 단체의 모든 활동에 필요한 제반업무를 연구함에 목적을 둔다. The basic elements for theater and performing arts are followings: a performer who performs (artists), a material to perform (script), a place to perform (theater), and audiences. Through field trip and lecture in the form of seminar about four elements above, this course aims at studying related duties needed for theater or all activities of an organization to have students develop ability to successfully lead performing arts. 3
현대희곡론 Modern Korean Drama 현대 영미 드라마에 영향을 준 프랑스 신고전주의 작가들(고르네이유, 몰리에르, 라신느 등) 을 비롯하여 북구 Ibsen, Strindberg, 러시아의 Chekhov, 독일의 Hauptmann이나 Brecht등 현대 연극의 조류를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현대 희곡의 발달 과정을 통시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그 가치를 규명한다. This course studies the main stream of modern theatre such as Ibsen, Strindberg in Northern Europe; Chekhov in Russia; Hauptmann, Brecht in Germany, etc, and neoclassic writers (Corneille, Moliére, Racine, etc.) who affected English and American Soap operas today. In addition, development of modern theatre will be diachronically studied and analyzed to examine its value. 3
무용치료연구 Studies in Dance Therapy 무용움직임에 대한 치료적 기능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의학적인 관점에서의 몸에 대한 접근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움직임 기법과 질병에 걸린 사람들의 치료를 위한 움직임 개발에 관한 학문적 토대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is course aims at understanding scientific basis about movement therapy to prevent a disease and development of movement to treat the ills through approach to human body from a medical view with consideration of therapeutic function in movement of dance. 3
현대미학론 Theory of Modern Aesthetic 서양 고대부터 근대까지 이어져 온 미론과 예술론들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고찰함으로서 미학의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This course aims to strengthens the basis of aesthetics through examining the most important facts in aesthetic and art theory from western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3
문화예술정책1 Policy of Cultural Art1 국가 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의 한 영역으로 문화정책이란 용어가 빈번히 거론되고 있으나 문화예술과 국가 및 지방행정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연구가 미진한 상태에서 문화정책이란 용어는 모호한 상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국민의 문화향수권 신장이란 측면의 국가정책 비중이 높아지면서 이제 문화정책은 하나의 실천학문으로서의 위치가 정립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과목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 하에 문화정책학의 입문과정으로서 문화정책에서 다뤄지는 영역들과 관련 이론들을 개설하고 문화정책의 현안과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강의의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Although cultural policy is frequently mentioned as one of the major policies for national development, it is dimly recognized as systematic research about cultural art has not been satisfied throughout national and local administrations. However, with increased recognition about cultural art and raised importance of national policy to increase art consumption, cultural policy has a challenge to become one of the practical studies. Under the challenge, this course deals with areas related to cultural policy and studies the principles concerned to examine the current problems in cultural policy and its ways of development as an introduction course for cultural policy. 3
문화예술정책2 Policy of Cultural Art2 국가 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의 한 영역으로 문화정책이란 용어가 빈번히 거론되고 있으나 문화예술과 국가 및 지방행정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연구가 미진한 상태에서 문화정책이란 용어는 모호한 상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국민의 문화향수권 신장이란 측면의 국가정책 비중이 높아지면서 이제 문화정책은 하나의 실천학문으로서의 위치가 정립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본 과목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 하에 문화정책학의 입문과정으로서 문화정책에서 다뤄지는 영역들과 관련 이론들을 개설하고 문화정책의 현안과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강의의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Although cultural policy is frequently mentioned as one of the major policies for national development, it is dimly recognized as systematic research about cultural art has not been satisfied throughout national and local administrations. However, with increased recognition about cultural art and raised importance of national policy to increase art consumption, cultural policy has a challenge to become one of the practical studies. Under the challenge, this course deals with areas related to cultural policy and studies the principles concerned to examine the current problems in cultural policy and its ways of development as an introduction course for cultural policy. 3
문화산업론 Cultural Industries 21세기 신경제에서 새로운 성장 신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경제 및 경영원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지식을 높임 This course raises students ' comprehension and knowledge about the principles of economic and management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which is currently focused as a new growth industry in 21C new economy. 3
비교정책 Comparative Public Policy 예술의 역사에 있어서 장르간의 상호영향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가운데 특히 20세기 전반의 한·일 간의 문화적 영향관계에 주목한다. This course studies historical interchange in art between genres of Korea and Japan, and especially focuses on cultural influence on each other throughout 20C. 3
문화이론 Cultural Theory 우리나라 문화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관점의 확보와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의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This course aims to enhancing comprehension about Korean cultural policies, and developing ability to propose substitute measures with an accurate political view. 3
문화예술과법 Cultural Art of Acticities Law 문화예술은 인간의 지적, 감성적인 창조행위의 산물이다. 문화예술상품은 지적재산권으로서 법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으며, 문화예술상품의 기획, 제작, 배금, 상업적 이용에 전 단계에 있어서 창작자와 이용자간에 복잡한 법률문제가 발생한다. 본 과목은 그러한 기본적인 법적 문제와 권리관계에 대하여 검토하게 된다. Cultural arts are the result of mental and emotional creation of human. Cultural art products are under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omplex legal problems might be occurred between artists and users throughout all stages of planning, manufacturing, distributing, and commercial consumption of art products. This subject examines legal problems and rights concerned. 3
예술의현황및제문제 Cultural Topics in the Arts 본 과목은 토의. 그룹작업, 사례연구 및 분석, 참고문헌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진행될 것이다. 과목 목표는 재원조성에 있어서의 국내외의 예술단체에 대한 지원현황과 후원자와 지원대상인 문화예술단체와의 관계파악, 문화예술기관 또는 단체의 재정적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매니지먼트, 리더쉽 등 다양한 요소를 고찰하며, 가능성 있는 재원조성 기획을 위한 여러가지 자료, 방법, 테크닉을 연구한다. This course will deal with various methods including discussion, group work, case study and analysis, and reference study.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factors including present state of financial support of art organization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relations between sponsors and cultural art organizations, and management or leadership which can affect financial state of cultural art organizations, and studies diverse materials, methods, techniques for planning possible financial support scheme. 3
공연예술기획론 Performing Arts Planning 공연예술의 기획을 위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황의 분석 및 대안을 마련한는 과정을 이론강의와 학생들의 연구, 조사, 토론을 통해 이론과 실기를 연계시킴으로서 창조적이며 실행능력이 있는 기획자의 길을 찾을 수 있게 한다. This course connects theory and practice through lectures with research, survey, and discussion about general comprehension, analysis, and alternative planning search of performing arts planning to become a creative, practical performing art planner. 3
문화마케팅 Cultural Marketing 예술기관 마케팅의 근본적 기능과 제반 문제점들을 논의한다. This course discusses fundamental functions and related problems of marketing of art organizations. 3
공연예술단체의조직과운영 Organizations and Management for Performing Arts 공사립 공연예술단체의 조직과 운영에 따르는 제반 문제를 분석하는 가운데 예술적 정책, 기금모금 및 인사관리 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problems such as art policies, fund raising and personal management with consideration of problems related in operating public and private performing art organizations. 3
극장경영 Theater Management 현재 우리나라의 극장이 400여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연장 운영면에서는 전문화 되어 있지 못하여 관객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따라서 극장의 구조, 형태, 운영 교육을 통하여 전문적인 극장경영인을 양성시키고자 한다. Although there are around 400 theaters in Korea, audiences are not getting qualitative service with unspecialized management of theaters. Therefore, this course aims to train professional theater manager through study of structure, forms, and management of theaters. 3
예술경영세미나 Seminar in Art Management 예술경영의 관점에서 이슈가 될 수 있는 사안들을 심도있게 파악, 분석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해 보는 과목이다. This course examines issues in art management in depth to draw practical substitute plans. 3
대중문화론 Studies in Popular Culture 공연예술에 있어서 관객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는 가운데 관객심리. 관객조사. 관객의 사회적, 문홪거 측면, 매스 미디어의 영향 및 관객이 어떻게 공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등의 문제들이 다루어질 것이다. This course deals with the function and role of an audience in performing art, and studies psychology and investigation of an audienc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an audienc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and the influence of an audience on a performance. 3
현대문화예술사조 Modern Cultural Trends in Art Thoughts 원시시대부터 고대,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역사속의 무용의 발자취를 인류문화적 관점에서 개관하고 업적을 남긴 무용가들의 서양무용의 그 발생에서부터 변천의 형태 및 역사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서 무용의 역사가 인류학적 측면에서 어던 의미가 있는지를 조명해 본다. This course inquires into the meaning of history of dancing in an anthropological view by surveying the course of dancing in world history from primitive ages to ancient, medieval, modern times and today, and examining western dance of remarkable dancers and its origination, changes and historical background. 3
공연및축제의세계적동향1 International trend of Performance and Festival 1 공연예술과 축제는 불가분의 관계다. 공연예술은 문화예술 콘텐츠의 핵심이며, 축제는 그 콘텐츠를 담는 그릇과 같다. 최근 문화예술의 국제교류는 주로 축제가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작품과 인적 교류의 장이자, 공연예술의 새로운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연의 기획과 홍보마케팅, 교류방식 등 예술경영의 노하우가 집약된 공론의 공간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 등 다장르 혹은 특정 장르 중심의 축제가 활기를 띠는 것도 이러한 움직임과 맥락을 같이 한다. 교과목 '공연 및 축제의 세계적 동향 '은 공연과 축제에 얽힌 전 과정과 흐름을 종합적인 시각에서 배우는 시간이다. '1 '이 국내 공연예술축제의 역사와 현황, 전망에 초점을 맞춘다면, '2 '는 국제 공연예술 축제로 시야를 넓여 보는 시간이다. 공연예술 축제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에서부터 기획, 재원조성, 홍보마케팅, 국제교류 등을 망라한다. Performing arts and festivals are inseparably related. Performing arts are core contents in performing arts, festivals are as containers for them. Festivals are the center of recent international interchange of performing arts. They are where to exchange art works and human relations, and are important links to read new trends in performing arts. In addition, festivals are where to gather diverse opinions with knowhow of art management such as planning, PR, and interchange methods. The reason why festivals with multi- or specific genre in Korea such as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SPAF) are actively being held is in collusion with such aspects above. 'International trend of performance and festival ' studies all stages and trends related to a performance and festival in an overall view. While '1 ' focuses on past, present, and future of domestic performing art festivals, '2 ' broadens the outlook with foreign performing art festivals. This course includes all information about performing art festivals from basic information to plan, fund raising, PR, and international interchange. 3
공연및축제의세계적동향2 International trend of Performance and Festival 2 공연예술과 축제는 불가분의 관계다. 공연예술은 문화예술 콘텐츠의 핵심이며, 축제는 그 콘텐츠를 담는 그릇과 같다. 최근 문화예술의 국제교류는 주로 축제가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작품과 인적 교류의 장이자, 공연예술의 새로운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연의 기획과 홍보마케팅, 교류방식 등 예술경영의 노하우가 집약된 공론의 공간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 등 다장르 혹은 특정 장르 중심의 축제가 활기를 띠는 것도 이러한 움직임과 맥락을 같이 한다. 교과목 '공연 및 축제의 세계적 동향 '은 공연과 축제에 얽힌 전 과정과 흐름을 종합적인 시각에서 배우는 시간이다. '1 '이 국내 공연예술축제의 역사와 현황, 전망에 초점을 맞춘다면, '2 '는 국제 공연예술 축제로 시야를 넓여 보는 시간이다. 공연예술 축제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에서부터 기획, 재원조성, 홍보마케팅, 국제교류 등을 망라한다. Performing arts and festivals are inseparably related. Performing arts are core contents in performing arts, festivals are as containers for them. Festivals are the center of recent international interchange of performing arts. They are where to exchange art works and human relations, and are important links to read new trends in performing arts. In addition, festivals are where to gather diverse opinions with knowhow of art management such as planning, PR, and interchange methods. The reason why festivals with multi- or specific genre in Korea such as Seoul Performing Art Festival (SPAF) are actively being held is in collusion with such aspects above. 'International trend of performance and festival ' studies all stages and trends related to a performance and festival in an overall view. While '1 ' focuses on past, present, and future of domestic performing art festivals, '2 ' broadens the outlook with foreign performing art festivals. This course includes all information about performing art festivals from basic information to plan, fund raising, PR, and international interchange. 3
예술단체의재원조성 Financial Constitution for Art Organization 그 속성상 외부 의존도가 높은 예술활동에서 재원조성은 무엇보다도 우선시 돼야할 일이다. 작품을 기획, 제작하는 일도 알리는 일도 모두 돈이 없으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일찍이 유럽에서는 '패트론(patron, 후원자) '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예술가는 그 막강한 후원에 힘입어 창작에 전념하면 되는 일이었다. 근대 이전에는 왕과 귀족 등이 주로 그 역할을 맡았다. 현재 세계 여러나라에서는 국가가 상당 부분 그 역할을 대신하지만, 한정된 재원으로 예술가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형편이다. 재원조성 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교과목 '예술단체의 재원조성 '은 정부의 지원금에서부터, 기업들의 후원 협찬금, 예술펀드, 투자금 유치 등 재원조성의 다양한 창구 등을 공부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시간이다. 각 국공립 기관들의 지원금 제도, 기업들의 문화마케팅, 투자금 유치 전략, 협찬제안서 작성 등을 연구한다. Financial constitu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rt activity which highly depends on external finance sources. Noting was possible without financial support. In early Europe, a patron (a sponsor) used to take the role. An artist only focused on his art work under the great support. Before modern times, king or nobles used to take the role. Although countries around the world mainly take the role recently, it 's not enough to satisfy all needs of artists with a limited financial budget. Therefore, artists and art organizations had had to compete against financial constitution. 'Financial Constitution for Art Organization ' examines various channels of financial constitution: government subsidiary, donation from businesses, art fund, and raising investment, and draws new ideas. Students will study funding systems in the public and private art organizations, cultural marketing of businesses, investment raising strategies, and how to write proposals for financial support. 3
문화교육과예술교육 Cultural Education & Arts Education 한국에서는 문화와 예술교육을 주로 제도권 교육이 도맡다시피했다. 한데 입시위주의 교육이 강조되면서 초, 중, 고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제도상으로만 존재할 뿐 실행되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런 문제점을 제한적이나마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은 방과 후 교육이나 예술강사 지원 등을 펼치고 있다. 어떻게해서든지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의 혜택을 제공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강조되는 것이 '사회문화예술교육 '이다. 다시말해 사회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평생주기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교과목 '문화교육과 예술교육 '에서는 제도권 교육 내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물론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당위와 역할 등을 공부한다. 이런 교육활동은 문화의 사회화 과정은 물론 문화복지, 새로운 예술가의 발굴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Current Korean exam-centered education system takes a major role also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However, as this system gets emphasized,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only existed in the system but not actually educated in schools. Korea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s imposing new policies such as after-school programs or support for art instructors to solve the problems. This is a part of political effort to provide cultural and art education to children and teenagers. In other words, cultural and art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and implemented continuously in the life-long cycle perspective. 'Cultural Education & Arts Education ' studies not only about cultural and art education but also duties and roles of social cultural and art education in the exam-centered education system. This is very important challenge in the view of socialization process of culture, and in the view of cultural welfare and scouting new artists. 3
예술과마케팅 Art Marketing 예술과 마케팅은 서로 잘 어울리는 조합으로 보이진 않는다. 예술을 '판매와 촉진 '의 대상으로 삼는 적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고래로 예술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소수에 의해 전유되는 '그들만의 리그 '에서 성장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과점적인 시각에 변화를 가져온 계기는 서구의 시민혁명이었다. 예술이 '천상 '에서 새로운 시대의 주역인 지상의 대중에게로 내려오기 시작한 것이다. '예술과 마케팅 '은 예술이 그 고유의 가치를 잃지 않으면서 소비자 대중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다가설 것인가를 연구하는 시간이다. 소비자의 마음을 읽어 예술의 핵심요소인 관객을 객석에 앉히는 일, 그 노하우를 배운다. Art and Marketing don 't seem to get along well enough because art has rarely been an object of 'sales and promotion '. Art has actually been grown in 'their exclusive league ' where only a few producers and consumers can deal with. It was western bourgeois revolution that brought change to this narrow view. 'Art Marketing ' studies how to effectively approach to the consuming masses without losing its own value of art. Students will learn the knowhow, how to arouse audience 's interest by understanding their needs. 3
영상이미지와예술 Art and Visual Image 공연예술의 진화 과정 측면에서 보면, 최근 새로운 시도로 자리잡은 분야가 공연예술과 영상의 만남이다. 국제 사회에서 호주와 캐나다는 이 분야의 선두주자로, 캐나나 출신 로베르 르파주는 이미 대가의 반열에 올라있다. 소위 '제1세계 '로 문화적인 강국인 유럽과 미국에서 독립한 두 나라는 공연예술과 영상을 접목한 독특한 예술양식을 개발, 발전시키면서 공연예술 신흥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 미디어로 영상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게 특징이다. 한국에서도 이런 시도가 빈번해지고 있는 추세인데, 디지털강국으로서 매우 전망있는 분야라고 판단한다. 다소 이질적인 매체인 영상과 공연예술이 기술적으로 어떻게 만나서 새로운 영감을 창조하고, 작품으로 완성돼 가는 지를 연구하는 시간이다. 테크놀로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도 배운다. Fusion between performing arts and visual work is what newly placed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process of performing arts. Australia and Canada are leading this field, and Canadian director Robert Lepage has become an acknowledged authority. The two countries where became independent from Europe and America, the First World and cultural powers, is leaping as new cultural powers of performing arts by developing their unique cultural styles. The new style of art work actively utilizes digital technology such as media, visual work. Many attempts are made recently, and it is recognized as a very promising area. This courses studies how these visual work and performing arts are technologically combined to create a new inspiration and get completed as one art work. Basic knowledge about technology will also be studied. 3
세계의문화정책 Cultural Policy of World 문화예술은 한 국가의 자부심과 자존이 걸려있는 분야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많은 국가재원이 들어가도 국가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으려고 힘쓰고 있다. 세계의 문화정책은 크게 '시장주의 '를 지향하는 미국식과 당위적인 국가지원을 강조하는 유럽식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예술경영 등 시장활동과 효율을 강조하긴 해도, 한국은 전통적으로 국가지원을 기반으로 한 유럽식 문화정책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막대한 정부 보조금이 문화예술계에 투입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제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각국의 문화정책에 대한 이해는 매우 긴요한 일이 되었다. 좋은 정책을 한국에 접목하기 위한 제도연구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국제교류를 위한 실용적인 측면에서 '세계의 문화정책 '에 관한 공부는 예술경영, 정책 전공자들에겐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Culture and art are the pride of a nation. Therefore, many nations put great support in spite of a large amount of financial budget. Cultural policies in the world are divided into two ways: American way which inclines to carry out market-friendly policy and European way which emphasizes the national support. Although economical efficiency is also emphasized in art management recently, Korea has traditionally taken European way of cultural policy based on the national support. This is the reason why a great amount of government support is put into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cultural policies of each country as international interchange gets active. 'Cultural Policy of World ' is inevitably required for those who major in art management and art policy not only to research on the system for adopting good policies to Korean art policy but also to practically interchange with world. 3
공연예술프로덕션매니지먼트 Performance Arts Management 공연은 크게 기획-제작-공연-평가의 4단계로 진행된다. 평가가 좋으면 다시 공연으로 돌아가 순환 구조로 바뀌면서 상업적인 성공의 과정으로 진화하게 된다. 모든 공연 종사자들의 꿈이다. 교과목 '공연예술 프로덕션 매니지먼트 '는 이 전 과정에 관한 원론적, 총론적인 연구의 시간이다. 첫 단추를 꿰는 일인 기획에서는 기획 동기와 시장 분석, 예산, 조직구성 등을 공부한다. 집으로 치면 설계도를 그리고 자금을 마련하는 일이다. 제작은 그 기획에 맞게 인력을 끌어들여 실제 만드는 일, 공연은 그 결과물을 극장 공간에서 관객에게 보여주는 행위이다. 평가는 내외부의 평가를 통해 재공연 여부 등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단체의 조직, 재원조성(펀드레이징), 홍보마케팅, 국제교류 등이 이 교과목에서 두루 다뤄져야 할 세부 내용들이다. Performance consists of roughly 4 stages: planning-producing-performance-evaluation. If the performance has a good evaluation, it gets back to 'performance ' stage, and the whole stages move in a cycle to achieve commercial success. This is what every person in performing art is all dreaming. 'Performance Arts Management ' examines this whole process in a general and theoretical manner. In the first stage 'planning ', students will study a motive of planning, market analysis, budget, structure, etc. This is the drawing a design and raising money in housing construction. 'Producing ' is the supplying with manpower to practically make the performance based on the planning, and 'performance ' is the showing the result to an audience in a theater. Finally, 'Evaluation ' is a process to decide whether to stage again or not based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 Structure of an organization, financial constitution (fund raising), PR, international interchange, etc, will be discussed in this course. 3
공연예술저널리즘 Performance Arts journalism 교과목 '공연예술과 저널리즘 '은 크게 두 가지의 영역에 관한 이해를 넓히는 시간이다. 하나는 저널리즘(언론)에 대한 이해이다. 공연예술 활동에서 언론은 불가피한 관계이다. 홍보 수단으로서 미디어를 대체할 만한 것은 현실적으로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언론, 구체적으로 신문이나 방송, 각종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생리와 구조 등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매체에 정보가 실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매체의 속성을 파악해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 하나는, 그 미디어를 통해 전개되는 평가, 즉 평론에 대한 이해이다. 공연예술 활동은 최종 평가에 의해 마무리가 되는 데, 미디어에 등장하는 저널리즘 비평은 그 파급성이 심대함으로 최종 평가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일이다. 두 영역을 이해한다면 언론을 두려움의 대상으로 볼 하등의 이유가 없다. This subject of Performance Arts Journalism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two areas. The first is the understanding of Journalism. Performance arts and journalism are inseparably related. There is no practical substitution to replace the media for promotio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media, newspaper and broadcasting in particular, internet,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very important.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to convey information in the media, and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o know the attributes of the media. The second is the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in the media, in other words, a critique. Performance arts activities are completed by final evaluation, therefore criticism in journalism could not be regarded carelessly because of its great ripple effect. There will be no reason to consider the media as an object of fear by understanding two areas above. 3
경영학원론 Principle of Business Management 경영학에 관한 총체적 기초이론을 개괄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경영학의 역사, 기업의 성장, 발전, 경영자들의 역할과 의무, 경영관리 과정 및 경영조직 그리고 생산, 판매 등 기업의 제반활동 등 경영학의 전모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This course aims at general approach about overall basic theori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entire aspec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history of business administration, development and progress of businesses, roles and obligations of executives, and corporate activities such as production and sale. 3
마케팅원론 Principle of Marketing 마케팅원론은 마케팅에 관한 기본적이고 전반적인 개념과 원리들, 그리고 원론적인 접근방법들을 다루고 있으며, 마케팅의 발전과정을 검토하여 현대마케팅의 특성을 규명하고 접근방법을 개발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fundamental and general concepts and principles of marketing and their theoretical approaches, and reviews the development progress of marketing to examine features of modern marketing and develop approaches to it. 3
조직행동론 Organization Behavior 조직행동론은 행동과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조직내에서의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과목을 통하여 조직행동론의 기본개념 및 이론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관리자가 될 수 있도록 인간관계 기술의 발전을 돕고자 한다. This course studies human social behaviors with behavioral science knowledge.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can learn the basic concept and theory of Organization Behavior, and the technique to develop human relationships to become efficient managers. 3
소비자행동론 Consumer Behavior research 소비자행동론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소비자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있다. 소비자의 욕구와 행동을 분석하여 기업의 마케팅 활동수행과 관련이 있는 소비자행동이론을 탐색하고, 이에 따른 적합한 마케팅 정책을 연구한다.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Consumer needs and behaviors are analyzed to research into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related to corporate marketing activities, and to study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3
인간관계론 Human Relations in organizations 조직의 성공을 위해서는 상품의 질 제고와 고객관리뿐 아니라 직장내 인간관계의 관리와 유지가 필수적 요인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의 행동이 조직 내에서 그리고 조직을 통하여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본 강좌에서는 리더십, 동기부여, 창의성, 조직변화 및 혁신, 조직 내 의사소통 등을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For an organization to succeed, managing and maintaining human relations in organizations are important as well as impoving the quality of product and managing client relationships. This course will show the students how they can become more effective in their work and personal life through knowledge of and skill in human relations. A major theme of this class is that career and personal success are related. Students will be encouraged to discover the management style that best suits the needs of a given work environment. 3
정보시스템개발론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정보시스템개발론은 경영정보시스템 과정의 중급수준으로서 인터넷기반, 더 나아가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기반의 경영정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분석 및 설계 방법론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하는데 있다. 또한 기업 경영활동에 응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course, as an intermediate uni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rack, aims to investigate the methodology of System Analysis and Design and hence to develop software for enterprise busicess activities. 3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