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캠퍼스

닫기

국제캠퍼스

닫기

생체의과학과

  • 수여학위명 : 의학 석박사, 치의학 석박사, 이학 석박사
  • 사무실 : 서울캠퍼스 의대 3층 331호
  • TEL : (02)961-0290
  • FAX : (02)6008-5535
  • E-Mail : medeng@khu.ac.kr
  • Homepage : http://biomed.khu.ac.kr

교육목적

생체의과학은 국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분야의 최신 기술을 융합하여 임상의학에서의 진단, 치료, 예방 등을 효율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다학제간 학문이다. 경희의료원 산하 부속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및 임상연구소들의 우수전문 인력들과 의료계열 4개 대학 및 이,공과대학의 기초학문을 상호연계함으로써 첨단 의료기술 발전 및 다학제간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개황 및 연혁

4개 분야 15명의 교수들이 참여하는 학과간 협동과정 (interdisciplinary programs)으로 2007년에 설립되었으며, 교과과정으로는 21개의 전공필수과목과 19개의 선택과목으로 총 40개 교과목이 편성되어 교육 및 융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생체의과학 협동과정에서 졸업이수 학점(석사: 전공필수 – 3학점, 전공선택 – 21학점; 박사: 전공필수 – 3학점, 전공선택 - 33학점)을 충족하고 논문 제출규정을 통과하였을 경우 의학, 치의학, 이학 박사 혹은 석사학위를 교차 수여받을 수 있다.

연구분야 및 개요

연구분야 개요
공학 나노공학, 생체역학 및 의료용 신소재공학
센서공학 바이오 센서 공학, 디스플레이 의공학
임상의학 신경외과, 정형외과, 피부과, 정신과, 흉부외과, 신경과, 내과 및 관련 임상과
정보학 생명정보학, 의료정보 및 의료경영

전임교원

이름 직위 학위 학위수여대학 전공 연구분야 E-Mail
권일근 교수 이학박사 Kyushu University 조직공학 치과재료 Kwoni@khu.ac.kr
김경숙 부교수 이학박사 고려대학교 고체물리 세포역학 moosou94@khu.ac.kr
김연정 교수 이학박사 경희대학교 생리학 생리학/약리학 yj129@khu.ac.kr
박규창 교수 이학박사 경희대학교 나노 재료/소자 나노 재료/소자 kyupark@khu.ac.kr
박기호 부교수 치의학박사 경희대학교 교정학 교정학 pkhmate@hanmail.net
박영국 교수 치의학박사 경희대학교 교정학 교정학 ygpark@khu.ac.kr
박해정 조교수 이학박사 경희대학교 약리학 약물유전체 hjpark17@khu.ac.kr
오동인 부교수 이학박사 경희대학교 의공학 생체계측 & 바이오리액터 johnsonahn@khu.ac.kr
우응제 교수 이학박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의공학 임피던스 이미징 ejwoo@khu.ac.kr
이기자 부교수 이학박사 연세대학교 물리화학 나노 재료 & 바이오/화학센서 gjlee@khu.ac.kr
이승우 교수 의학박사 KAIST 반도체 소자/회로 디스플레이 구동 seungwoolee@khu.ac.kr
장건호 교수 이학박사 Missouri State University 의학물리 의학영상 fsquan@khu.ac.kr
전복실 부교수 이학박사 고려대학교 미생물학 & 면역학 바이러스 유사입자 백신 fsquan@khu.ac.kr
최삼진 조교수 의학박사 Yamaguchi University 시스템공학 표면증강 라만분광분석 medchoi@khu.ac.kr
하상수 교수 이학박사 서울대학교 생무기화학 압타머 &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sshah@khu.ac.kr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과정을 안내드립니다.

교과목개요

교과목명(국문) 교과목명(영문) 내용 학점
나노기술의 이해  Understanding of Nano Technology  최첨단 나노 분야의 최신 지견 습득과 학생들의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해, 최신 논문과 연구를 세미나 형식으로 교육 3
나노메디신 연구방법론 Methodology in Nanomedicine 나노메디신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나노 기술을 의학과 접목 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소개한다. 이를 통해 학생 각자의 전공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첨단 나노메디신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적 연구 주제를 도출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3
나노메디신 입문 Introduction to Nanomedicine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향상시키기 위한 나노메디신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위한 세부 분류 기술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다. 조기 진단을 위한 분석툴, 맞춤 치료를 위한 표적 지향 약물 전달에서 나노 기술의 응용성을 이해하고, 첨단 나노메디신 동향을 파악한다. 3
바이오센서 Biosensor 바이오센서의 기본 원리에 대해 이해하고, 생체 감지막 구성 및 신호 변환 방법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분류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룬다. 실제 임상 및 현장 진단에 활용되는 바이오센서 상용화 사례 및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3
바이오이미징 Bioimaging 나노 기술을 이용한 여러 가지 형태의 생체 및 세포 이미징 시스템의 기본 원리 및 실제 구현에 대해 강의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의생물학 연구에의 활용 예 및 향후 가능성에 대해 강의한다. 3
바이오전자공학 Bio-electronics 전자 의료기기 기반 임상 중개 연구를 위한 공학적 지식과 생체 신호의 특성 및 기작의 이해에 기반한 아날로그 생체 신호 측정 원리를 학습하고 다양한 생체 내 신호 측정을 위한 센서의 원리와 이를 활용한 측정 회로 설계 기법을 배운다. 의료 기기 안전성을 고려한 의료용 전원 및 시스템 설계 기법을 학습하며 관련 규정을 배운다. 3
보건의료정보학 Medical Informatics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이며 의료 정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시대에 도달했다. 의사가 되는데 필요한 해석 및 의사결정, 의학 지식도 과거 경험 못했던 새로운 환경에 도달했다. 의료 정보학은 환자 진료, 의학 교육 및 연구 더 나아가 의료 경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효율적으로 체계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이해시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3
생명 현상의 이해 Understanding of Life 생명현상의 기본적인 이해에 필요한 분자 생물학, 유전학등의 지식을 학습한다.  3
생물물리학 Biophysics 암세포, 줄기세포 등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질병의 조기 진단과 분화 특성에 대해 익힌다. 3
생체계측론 Biomedical instrumentation 인체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공부해 의료기기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계측의 기본 원리와 계측 시스템 설계 방법을 공부한다. 각종 센서의 특성과 용도 및 응용 방법을 배우고, 생체 신호의 기전을 공부한다. 전극의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법을 학습한다. 신경전도, 심전도, 근전도, 뇌파, 안구전도, 혈압, 심음, 혈류, 혈량등 생체 신호들의 측정 및 해석 방법을 배운다. 인체로부터 생리 변수를 측정하는 계측 시스템의 전기적 안전도에 대해 공부한다. 3
생체의공학입문 Introduction to the Biomedical Engineering 의공학의 발전사, 정의, 기본 원리, 세부 분야들과 미래 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개념의 기초를 교육 3
생체전자기학 Bio-electromagnetism 신경세포의 구조 및 특성을 살펴보고 신경세포가 자극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며 신호를 전달하는지 공부한다. 신경활동에 의해 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체전자기 현상을 생체조직의 전자기적 물성을 포함하는 Maxwell 방정식으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신경활동에 의해 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전류밀도와 전압의 분포 그리고 인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자속밀도의 분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생체전자기장에 세포, 조직, 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의해 변하는 생체조직의 물성이 미치는 영향을 공부한다. 리드필드 이론을 통해 생체전자기현상 측정의 핵심 개념과 계측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다. 3
세포역학 Cellular Mechanics 생명 현상의 생물리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정량화하기 위해 생물학적 현상의 원자 구조적 이해와 물리적 이해를 위한 방법을 강의함 3
유전체연구방법론 Methodology in Genomics 유전체 연구에 필요한 방법을 강의하고 학습한다. 3
의료용 고분자의 의학적 응용 Medical applications of polymeric biomaterials 나노공학과 생명공학의 융합기술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의료용 고분자의 최신 연구 동향에 관하여 심도 깊은 학술 조사와 토론을 통하여 생명공학에 사용 가능한 의료용 고분자 개발을 목표로 함. 특히 약물전달, 분자영상 또는 생체조직재생 등의 생명공학적인 응용에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의료용 고분자들의 합성, 구조 및 특성과 실제적인 응용에 관하여 강의한다. 3
의료정보시스템 Medical information system 정보의 입력과 사용자 질의어를 처리하여 다양한 형태로 결과를 출력하는 일종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문제와 관련되므로 정확·완전하여 최근의 의료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3
임베디드 전자의료시스템 Embedded medical electronic system 병원 내 환자의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전자 의료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학습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첨단 전기전자공학기술과 프로그래밍 기술을 융합하여 지능형 전자 의료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실시간 운영 체제를 탑재한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설계 기법을 배우고 소형 의료 및 헬스 케어 기기의 개발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3
조직공학개론 Medical application of Tissue Engineering 생명과학과 공학의 기본 개념 및 기술을 통합 응용하여 생체조직의 구조와 기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나아가서 생체조직의 대체 조직을 재생 이식함으로써 인체의 기능을 유지, 향상 또는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응용학문에 대한 기본 개념을 교육  3
줄기세포공학 Stem Cell Bioengineering 생명공학산업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줄기세포 분야 연구의 핵심은 줄기세포를 분화 및 배양시켜 만든 생체조직을 이용하여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치환 혹은 대체하는 것에 있다. 줄기세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줄기세포공학 최신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3
중개의학 입문 Introduction to Translational Medicine 최첨단 이공기술 및 장비에 대한 원리 및 응용분야에 대한 이해를 통해, 효율적인 중개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나노기술 기반의 진단 및 치료 평가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학생 자신의 전공분야와 나노기술을 효과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해 낸다. 3
치과의용공학 Bioengineerings of Dentistry 치과에서 사용되는 장비 및 기구의 기본 메카니즘과 적용 방법을 고찰하고 더 나아가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인 장비나 기구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3
나노-바이오기술 Nano-Bio Technology 나노-바이오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우며, 특히, 나노기술의 의학적 응용과 관련된 최신 경향에 대해 주로 살핀다. 3
나노바이오센서 Nanobiosensor 생명현상을 규명하고 의료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질병의 조기 진단을 이루고자 개발되는 첨단 나노기술 중 현재 실용화 되었거나 향후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분야 특히 의료용 조기 진단에 사용되는 나노 바이오센서에 대해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3
나노화학개론 Introduction to Nanochemistry 최근 첨단 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나노과학과 화학을 접목시킨 융합학문인 나노화학에 필요한 기초 개념들과 함께, 나노크기의 소재 및 소자의 합성과 화학적,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융합연구에 필요한 화학적 지식을 갖추게 한다. 3
머신러닝을 이용한 의학진단 ML-based Biomedical Analysis 인공지능(AI)의 기초를 이루는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Supervised Learning과 Un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하여 암과 같은 다양한 의학질병의 진단에 어떻게 사용되는 지 알아보고 질병에 따라 최적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선택방법과 질환의 2-class 문제와 multiple-class 문제에 대해서 알아본다. 3
바이오공학 역문제 Inverse problem in bioengineering 바이오공학에서 발생하는 순문제와 역문제의 물리적 현상에 대한 이해와 수학적 표현 방법을 학습한다. 벡터공간, Hilbert 공간, 직교성, 투영, 선형대수학, 선형시스템, 최소 자승 오차법을 포함한 최적화 이론, 편미분방정식, 수치해석 등 의공학에서 다루는 문제들에 대한 수학적 표현과 분석 및 계산 방법을 학습해 주어진 문제를 수학적으로 다루는 능력을 배양한다. 역문제의 구체적인 예를 통해 역문제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배운다.  3
바이오신호와 영상의 분류와 해석 Statistical Processing of Biosignal and Image 확률과 확률과정, 추정과 결정 이론, 정보 이론을 공부한다. 회귀분석법을 통해 확률적 기계학습의 기본이론을 학습한다. Perceptron과 LMS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인공신경망을 공부한다. Radial basis function, support vector machine, self-organizing map 등의 기계학습법과 정보이론적 접근법을 이해한다. 측정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분류, 추정, 판별, 결정하는 정보처리 자동화 방법을 학습한다. 3
바이오신호와 영상의 통계적 처리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Biosignal and Image 확률과정과 모델, 위너필터, 선형예측, gradient와 최소화, LMS 알고리즘, LS 알고리즘, Kalman 필터, blind deconvolution, PCA, ICA 등 확률적 신호처리 이론을 습득한다. 측정 데이터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를 추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3
생체신호처리와 프로그래밍  Bio-signal processing and programming 측정된 생체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고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임상적 정보를 디지털 필터 이론 및 디지털 신호 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추출하는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바이오 문제를 수치적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메트랩, labview와 같은 컴퓨터 기반 수치 해석기법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을 배우고 실습예제를 통해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3
생체재료분석학 Biomaterial Analysis 인체의 다양한 생체 재료 및 의학진단을 위하여 합성하고 개발한 생체 재료 물질 분석을 위한 다양한 분석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생체재료에 따라 적절한 분석법의 선택법과 평가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3
생체필터설계론 Biomedical Filter Design 다양한 생체신호로부터 응용 목적에 맞는 성분을 추출해 내기 위한 필터 설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전반기에는 기존 의학 신호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이용하여 컴퓨터상에서 직접 필터를 설계하고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후반기에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필터 설계 회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3
감염성 질환의 진화 Evolution on Infectious Disease 병원체인 병원미생물(기생충)이 숙주(host)의 생체 내에 침입 또는 점막의 표면에 붙어 증식한 상태로 병원체가 인체 조직을 침범하여 질환을 일으키는 병독성(Pathogenicity)의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임. 3
인체생리학 Human Physiology 생리학은 인체의 생명 현상을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리학을 배우는 목적은 인체의 정상적인 기전을 이해함으로써 세포 및 각 장기의 기능을 이해하고 질병의 발생 기전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3
임상시험과 생체의과학 Clinical trials and Biomedical Engineering 인간의 생명 현상과 관련된 연구를 임상연구 및 임상시험과 연계시키는 기법과 생체의과학적 연구의 적응에 대하여 연구한다. 3
임상의료정보학 Clinical Informatics 의료관련정보와 지식화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와 관련된 학문을 발전시키는 분야로, 의료정보공유기술과 정보검색기술을 중심으로 기술과 소프트웨어들을 개발하면서 정보의 효율적 사용을 교육 3
전기화학 개론 Introduction to Electrochemistry 전기화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technique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이를 이용한 분석법, 여러 학문 분야 및 산업에의 응용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개인별로 담당교수가 제시한 연구과제물 중에서 선택하여 담당교수와 논의 후 깊이 있게 공부하여 발표하고 연구결과물을 제출하도록 하여 관심 있는 한 분야에 대하여 깊이 있게 전기화학을 접할 수 있도록 한다. 3
중개의학연구방법론 Methodology in Translational Medicine  첨단 이공계 기술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 자신의 전공분야 및 임상현장과 효율적인 중개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공부한다. 각종 질병에 대한 진단 및 치료 평가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보다 나은 진단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 및 아이디어를 모색해본다. 3
치과교정생역학 Biomechanics in Dental Orthodontics 치아 이동 시, 가해지는 힘의 위치 및 양에 따라 일어나는 치아 이동과 조직 반응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고찰한다. 교정력을 가할 때, 적용되는 다양한 역학적 생물학적 원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3
표면증강라만산란의 의료바이오응용 SERS-based Biomedical Applications 표면증강라만산란(SERS,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기술을 이용한 바이오 의료 분야로의 응용연구에 대한 강의로, 라만분광의 기본 원리와 다양한 물질 검출을 위한 나노입자 기반의 표면증강라만산란 센서의 이론인 전자기적 증강 효과(Electromagnetic Enhancement Effect)와 화학적 증강 효과(Chemical Enhancement Effect)에 대해서 알아보고 전자기장 분포와 라만 광도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3
SoC 기반 의료기기 설계 SoC based medical devices 의료시스템의 복잡도 증가 및 소형화, 환자별 특성화 등의 요구에 부합하는 system on a chip(SoC) 기반 의료기기 설계기법을 학습한다. 변경 가능한 아날로그 측정회로와 프로그램 기반 디지털 회로를 포함하는 SoC 칩 상에 생체신호 측정용 계측시스템 구현방법을 학습하고 하드웨어 설계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환자별 특성화가 용이한 구조의 시스템 개발 기술을 배운다.   3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