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물학적이론 접목 교육을 통해 한의학 객관화, 과학화
∙ 한의학과 생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한의학 이론에 대한 인식 고취
∙ 한의학 이론의 객관화와 세계화를 선도할 미래의 고급인력 양성
http://kmc.khu.ac.kr/
연구분야 | 개요 |
---|---|
한의분자생물학 | 분자생물학적 방법론으로 한의학을 이용한 치료, 예방효과 및 신약개발 등을 연구 |
한의생물학 | 한의학 이론을 바탕으로 생물학적 실험연구 성과를 연구 |
이름 | 직위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연구분야 |
---|
※ 아래 교육과정은 2016~2017학년도 교육과정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대학원 홈페이지 개편 관련 최종 교육과정은 추후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번호 | 기존/신규 | 교과목 코드 | 강좌명(국문) | 학점 | 이수구분 | 수강대상 | 수업구분 | 개설학기 | 비고 | |
---|---|---|---|---|---|---|---|---|---|---|
강좌명(영문) | 1학기 | 2학기 | ||||||||
1 | 기존 | 583241 | 처방배합론 | 3 | 전공선택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Theory of Prescription Modification | ||||||||||
2 | 기존 | C5832500 | 천연물 분자생물학 | 3 | 전공선택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Molecular Biology of Natural Product Research | ||||||||||
3 | 기존 | 705331 | 세포실험학 | 3 | 공통선택 (한의학, 이학)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Experimental Cell Research | ||||||||||
4 | 기존 | 172171 | 생화학실험법 | 3 | 공통선택 (한의학, 이학)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Methodology of Biochemical Experiment | ||||||||||
5 | 기존 | 172181 | 생화학실험법2 | 3 | 공통선택 (한의학, 이학)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Biochemical Laboratory Method II | ||||||||||
6 | 기존 | 172301 | 생화학특론1 | 3 | 공통선택 (한의학, 이학)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Advanced Biochemistry I | ||||||||||
7 | 기존 | 172331 | 생화학특론2 | 3 | 공통선택 (한의학, 이학)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Advanced Biochemistry II | ||||||||||
8 | 기존 | 180771 | 세포생물학1 | 3 | 공통선택 (한의학, 이학)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Cell Biology 1 | ||||||||||
9 | 기존 | 180781 | 세포생물학2 | 3 | 공통선택 (한의학, 이학)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Cell Biology 2 | ||||||||||
10 | 기존 | 115031 | 미생물학특론 | 3 | 공통선택 (한의학, 이학)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Advanced Microbiology | ||||||||||
11 | 신규 | - | 건강증진론 | 3 | 전공선택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Health Promotion | ||||||||||
12 | 신규 | - | 중개연구 | 3 | 전공선택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Translational Study | ||||||||||
13 | 신규 | - | 환경한의학론 | 3 | 전공선택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Environmental Medicine | ||||||||||
14 | 신규 | - | 역학기초 | 3 | 전공선택 | 석박사공통 | 이론 | ○ | - | |
Principle of Epidemiology |
교과목명(국문) | 교과목명(영문) | 내용 | 학점 |
---|---|---|---|
처방배합론 | Theory of Prescription Modification | 한약 처방의 약물 가감 및 배합 이론을 연구한다. | 3 |
천연물 분자생물학 | Molecular Biology of Natural Product Research | 다양한 질환의 생물학적인 이해와 함께 한의학 혹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약물들의 작용기전 및 을 포함한 효능에 관한 연구를 학습하고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한의학적 처방및 약재의 활용가치와 개발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토론할 기회를 갖도록 한다. | 3 |
세포실험학 | Experimental Cell Research | 다양한 세포의 생물학적인 이해와 함께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쓰이는 세포 실험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한다. | 3 |
생화학실험법 | Methodology of Biochemical Experiment | 생화학적인 이해와 함께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쓰이는 생화학 실험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한다. | 3 |
생화학실험법2 | Biochemical Laboratory Method II | 생화학적인 이해와 함께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쓰이는 생화학 실험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한다. | 3 |
생화학특론1 | Advanced Biochemistry I | 생화학적인 이해와 함께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쓰이는 생화학 실험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한다. | 3 |
생화학특론2 | Advanced Biochemistry II | 생화학적인 이해와 함께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쓰이는 생화학 실험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한다. | 3 |
세포생물학1 | Cell Biology 1 | 다양한 세포의 생물학적인 이해와 함께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쓰이는 세포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한다. | 3 |
세포생물학2 | Cell Biology 2 | 다양한 세포의 생물학적인 이해와 함께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쓰이는 세포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한다. | 3 |
미생물학특론 | Advanced Microbiology | 다양한 미생물의 미생물학적인 이해와 함께 약물들의 작용기전에 쓰이는 미생물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한다. | 3 |
건강증진론 | Health Promotion |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생명현상의 노화과정 및 질병발생과정에서 건강증진행태의 개입을 통한 질병의 발생억제 및 삶의 질 향상과 노화억제에 대해 암. | 3 |
중개연구 | Translational Study | 보건복지 분야의 연구의 중심이 실용적이면서 실제적인 응용을 중시함에 따라 기초연구와 임상연구의 연결고리로서 유전체, 대사체 및 단백체에 대한 연구가 발달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학습이 필요함. | 3 |
환경한의학론 | Environmental Medicine | 질병의 발생과 관리 및 치료에 있어 환경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이에 대해 한의학적인 접근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학습한다 | 3 |
역학기초 | Principle of Epidemiology | 모든 연구의 기초는 역학적인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대한 학습을 통해 각족 연구의 디자인, 실행 및 분석에 응용할 수 있음.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