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원예생명공학과 석사과정, 석박통합과정, 박사과정에서는 원예작물의 재배, 생산, 이용 및 품종 육성과 관련된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지식의 탐구와 교육을 통하여 문화세계의 창조에 기여할 수 있는 원예 전문지식을 보유한 민주시민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의 학부에서 원예전반에 걸쳐 기초이론을 습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채소, 과수, 화훼류의 재배, 육종, 작물보호, 유통 및 가공과 관련된 제반현상 등에 대한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해석능력을 함양시키고 원예기술개발에 따른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능력을 배양케 하여 원예생명공학에 대한 학문적 전문성과 응용능력을 바탕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지도자적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1974년에 원예학과가 신설되었으며, 2003년 생명과학대학의 생명과학부로 편재 개편되었다. 2004년 학과명이 원예학 전공에서 원예생명공학으로 변경되었으며, 2010년 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부에서 원예생명공학과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연구분야 | 개요 |
---|---|
원예작물의 기능유전체학, 유전자 발현 제어기작 연구 | 원예작물을 대상으로 주요 형질 관련 유전자의 기능 분석, 마커 개발, 유전체 분석을 통한 분자 육종 연구 |
원예작물 생리생태 및 환경조절 원예산물 기능성 연구 | 광 및 영양 환경조절에 의한 원예작물의 기능성물질 조절 및 환경제어 기술을 이용한 화훼 및 채소작물의 기능성 묘목생산 등을 연구함. |
원예작물 병 저항성 및 식물-병원균 상호작용 연구 | 주요 원예작물에 발생하는 주요 식물세균병에 대한 병 저항성 기작 및 식물과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병원성 인자의 기능 분석을 주요 대상으로 함. |
원예식물체 유래 기능성 신소재 탐색 및 분리 | 식물체에서 기능성 신소재를 ,HPLC, LC/MS,GC/MS, NMR 등을 이용하여 분리 동정 및 정성, 정량분석을 수행하며 항산화, 항암, 항비만, 및 항염 등의 생리 활성을 밝혀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탐구 |
원예작물의 육종, 분자마커의 개발 및 이용연구 | 원예작물을 대상으로 신품종 육종을 위한 주요 형질 관련 유전자 탐색, 돌연변이 유도 및 특성 분석, 신규 형질 판별을 위한 분자마커 개발 및 이용 |
유전체 편집기술 및 표현체 분석을 통한 스마트팜 재배용 작물 개발 및 연구 | 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 및 정밀 표현체 분석법을 적용하여 수직농장, 식물공장 재배에 적합한 작물 개발 및 생육 최적화 연구를 진행 |
이름 | 직위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연구분야 | |
---|---|---|---|---|---|---|
박영두 | 정교수 | 이학박사 |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 식물분자생물학 | 원예작물의 기능유전체학, 유전자 발현 제어기작 연구 | ydpark@khu.ac.kr |
이윤형 | 정교수 | 이학박사 | University of Houston | 식물생화학 | 원예식물체 유래 기능성 신소재 탐색 및 분리 | younlee@khu.ac.kr |
엄석현 | 교수 | 이학박사 | Cornell University | 식물생태생리학 | 원예작물 생리생태 연구 및 원예산물 가공연구 | se43@khu.ac.kr |
오창식 | 교수 | 농학박사 | Cornell University | 식물병리학 | 원예작물 병 저항성 및 식물-병원균 상호작용 연구 | co35@khu.ac.kr |
권춘탁 | 조교수 | 농학박사 | 서울대학교 | 식물유전육종 | 유전체 편집 및 정밀 표현체 기술 연구 및 스마트팜 적합 작물 개발 | ctkwon@khu.ac.kr |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