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캠퍼스

닫기

국제캠퍼스

닫기

기계공학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수여학위명 : 공학석사, 공학박사
  • 사무실 : 공과대학 224호 행정실 내 기계공학과
  • E-Mail : gskh_me@khu.ac.kr
  • Homepage : http://eng.khu.ac.kr/me

교육목적

대학원은 산업계의 고급인력과 전문 연구인의 양성을 목표로 하며, 교수님들과 학부 졸업 이상의 구성원들을 모아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전문적 학문에 대해 공통의 관심사를 갖는 학술 집단을 형성한다. 대표적인 교육과정으로 석사와 박사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석사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을 기반으로 전공 분야에서의 학술연구 능력을 배양하며, 박사과정은 전문 연구 수행자로서의 자질을 기르고 독립적으로 연구 활동을 수행해 나갈 수 있는 연구능력과 사고력을 배양함으로써 전문인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외에 학·석사 연계과정, 석·박사 연계과정, 해외 학술 과정 그리고 교수님과의 연구생 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개황 및 연혁

기계공학과 대학원은 1972년 1월 1일에 석사과정을 설립, 1973년 1월 1일에 박사과정을 설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기계공학과의 전공분야는 크게 열·유체 분야와 고체 및 제어 분야로 구분된다. 열·유체 분야는 열공학, 유체공학, 전산열유체, 에너지공학, 열 환경제어 및 에너지 물질순환 연구실로, 고체 및 제어 분야는 신소재, 구조해석, 재료강도, 정밀공학, 진동 공학, 자동제어, 나노/복합재, 가상 시제 및 로봇공학 연구실로 구성되어 있다.
2009.01.01. 공과대학 기계공학과로 편성
2003.01.01. 테크노 공학대학 기계공학과로 편성
1999.01.01. 학부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기계, 산업시스템공학부로 편성
1983.02.01. 수원 캠퍼스로 통합
1979.01.01. 수원 캠퍼스에 공학부에 기계공학과가 병설
1973.01.01. 박사과정이 설립
1972.01.01. 석사과정 설립
1969.02.01. 40명으로 증원되어 정식으로 공과대학으로 편입
1967.02.01. 문리과 대학에 25명 정원으로 시작된 기계공학과

연구분야 및 개요

연구분야 개요
동역학·제어분야 동역학을 포함한 역학기반의 연구와 교육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지능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본질적인 원리와 방법론과 모니터링, 조작, 그리고 제어시스템을 위한 독창적인 장치 개발을 추구한다. 동역학 또는 제어와 융합된 생체공학 분야와 이를 위한 관련 바이오 연구도 이 분야에 속한다.
열·유체분야 열 및 유체에 관한 여러 원리와 법칙을 기초로 실제 현상 및 응용분야에 대하여 이론, 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하여 연구한다. 유체관련분야에서는 유체의 내부/외부 유동특성 및 대류열전달, 유체기계의 이론해석, 효율향상 및 이에 대한 수치해석 등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열관련분야는 내연기관의 열효율 향상, 유해배기가스 저감과 도시폐기물, 산업폐기물의 소각처리기술, 환경오염물질 저감기술 및 냉동·공조를 포함한 환경열공학 제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재료·생산분야 재료 및 구조물에 대한 이론과 법칙을 기초로 공학적 현상을 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하여 연구한다. 또한 재료의 특성와 구조체의 안정성에 기초

전임교원

이름 직위 학위 학위수여대학 전공 연구분야 E-Mail
오택열 명예교수 공학박사 고려대학교 구조 및 파괴역학 응용역학, 재료및 파괴공학, 진동 tyoh@khu.ac.kr
박경석 명예교수 공학박사 인하대학교 열공학 열동력기관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ks2507@khu.ac.kr
오환섭 명예교수 공학박사 경희대학교 피로 및 파괴역학 재료의 피로 및 파괴거동 shoh@khu.ac.kr
허 유 명예교수 공학박사 Stutgart University 자동제어 및 공정공학 지능공정제어, 섬유기계 huhyou@khu.ac.kr
김경훈 교수 공학박사 홍익대학교 열유체공학 유체기계 내의 난류 유동, 제어 및 열전달 현상 등에 관한 연구 kimkh@khu.ac.kr
권영하 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재료역학, 감성공학 생체모방 yhkwon@khu.ac.kr
김창영 교수 공학박사 UCLA 열유체공학 항공기, 자동차, 산업기계 등에서의 열유체현상에 대한 연구 cnkim@khu.ac.kr
유송민 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생산공학 정밀가공, 기계공정 모델링, 제어, 시뮬레이션, CAD/CAM, 가공공정 분석 및 모니터링 smyoo@khu.ac.kr
전흥신 교수 공학박사 Tohoku University 열공학 액체미립화기구, 도시 및 산업폐기물연소, 에너지플랜트설계에 관한 연구 hsjeon@khu.ac.kr
최명진 교수 공학박사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동역학 및 진동 전산역학, 진동, 소음, 동역학 및 기구시스템 mjchoi@khu.ac.kr
장승호 교수 공학박사 동경대학교 CAD,CAM 설계공학, CAD, 기계진동학, 기구학, 메카트로닉스 shjang@khu.ac.kr
홍희기 교수 공학박사 동경공업대학 열공학 환경열공학, 냉동 및 공기조화, 상변화열전달 hhong@khu.ac.kr
이순걸 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Michigan 제어 및 생체역학 제어계측공학, 로보틱스, 메카트로닉스, 인체공학 sglee@khu.ac.kr
이경엽 교수 공학박사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재료공학(피로, 파괴) 금속의 균열 및 피로, 구조재, 복합재 rheeky@khu.ac.kr
최진환 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전산다물체 동역학 다물체(강체, 및 소성체) 동역학, 기계시스템의 가상시제 jhchoi@khu.ac.kr
김윤혁 교수 공학박사 KAIST 생체공학 생체공학, CAD/CAE yoonhkim@khu.ac.kr
임성수 교수 공학박사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제어, 자동화 Motion Control, 자동화, 진동제어, Signal Processing ssrhim@khu.ac.kr
구준모 교수 공학박사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열유체 나노유체, 입자유동 박막코팅, 증발유동 jmkoo@khu.ac.kr
이병찬 교수 공학박사 Stanford University 재료이론 재료이론, 전산재료역학 재생에너지/환경 airbc@khu.ac.kr
이원구 교수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바이오센서 바이오-기계 융합,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의료공학이 termylee@khu.ac.kr
최덕현 부교수 공학박사 포항공과대학교 나노구조재료 나노구조재료, 복합재료 dchoi@khu.ac.kr
정인화 부교수 공학박사 Northwestern University 나노공학 나노공학 ijung@khu.ac.kr
남영석 부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열전달 & MEMS/NANO 마이크로/나노스케일 상변화, 차세대 반도체 열관리 기법, 에너지 변환/저장 시스템 ysnam1@khu.ac.kr
정신규 교수 공학박사 Tohoku University 항공우주공학 공기역학최적설계, 데이터마이닝, 빅데이터 icarus@khu.ac.kr
이충엽 부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유체공학 마이크로/나노 스케일 유체역학, 계면현상 cylee@khu.ac.kr
조정완 조교수 공학박사 Stanford University 열공학 마이크로/나노 스케일 열전도, 박막의 열물성 측정, 반도체 재료, 반도체 디바이스 열관리, 에너지 변환 jungwan.cho@khu.ac.kr
허윤정 조교수 공학박사 The University of Tokyo 마이크로시스템 초소형 공정 기술, 기계생물학 및 의료공학 yunjheo@khu.ac.kr
김형진 교수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공기역학 공기역학 hyoungjin.kim@khu.ac.kr
김진균 조교수 공학박사 KAIST 구조진동,동역학 구조진동,동역학, CAE, 전산역학, 응용수학 jingyun.kim@khu.ac.kr
최동휘 조교수 공학박사 포항공과대학교 멀티스케일 고분자 재료가공 멀티스케일 고분자 재로가공, 기계시스템 설계/제작, 차세대 생산 공정 개발, 에너지 변환기술, 웨어러블 디바이스 dongwhi.choi@khu.ac.kr
김두호 조교수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멀티스케일 재료설계/역학 배터리, 에너지 소재,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나노역학 duhokim@khu.ac.kr
심재근 I.S. 교수 공학박사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신체운동학 의공학, 생체역학, 의용, 생체물리학 jkshim@umd.edu
Vesna Miskovic-Stankovic I.S. 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Belgrade 고분자화학 재료 및 고체 vesna@tmf.bg.ac.rs

학과내규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본 운영내규는 대학원 학칙을 준수하는 범위 안에서 대학원 학칙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 중 대학원 기계공학과 운영에 중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2조(학위과정)
1. 석사학위과정
(1) 석사학위과정의 전공은 열·유체계열, 재료 및 고체계열의 두 분야로 나누어진다.
(2) 석사학위과정의 전공종합시험은 전공과목 중 3과목을 선택하여 실시한다. 시험은 필수과목(수치해석특론, 고급실험통계론 중 1개과목)을 포함하여 총 3과목으로 한다.
논문제출을 위해서는 공개발표를 해야 하나, 논문심사일 이전에 제1저자로서 학술대회에서 논문발표를 한 자는 이를 면제한다. 

2. 박사학위과정
(1) 박사학위과정의 전공은 열·유체계열, 재료 및 고체계열의 두 분야로 나누어진다.
(2) 박사학위과정의 전공종합시험은 전공과목 중 4과목을 선택하여 실시한다.
(3) 박사학위 논문 제출자의 자격은 다음의 기준에 따른다.
1) 전일제는 5학기, 부분제는 7학기를 마친 후에 주어진다. 석박사연계과정은 예외로 한다.
2) 본인이 제1저자, 지도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으로서, SCI(E) 1편과 학술진흥재단 등재지 2편 게재 혹은 게재예정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SCI(E) 논문 1편과 학술진흥재단 등재지 논문 2편은 서로 대체 가능하다. 

제3조(이수과목)
1. 석사학위과정
(1) 석사학위과정에서는 필수과목으로 '수치해석특론'과 '고급실험통계론' 중 1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2) 학부의 비전공자 입학의 경우에는 9학점을 추가로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수과목은 지도교수와 상담하여 대학원 혹은 학부과정에 개설된 전공과목을 대상으로 한다. 비전공자에 대한 판단은 부칙에 따른다. 

2. 박사학위과정
(1) 박사학위과정에는 필수과목이 없으며, 지도교수가 지정하는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2) 석사학위의 전공이 동일계가 아닌 학생은 12학점 또는 특수대학원 졸업생(동일계 6학점, 비동일계 12학점) 추가로 이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수과목은 지도교수와 상담하여 대학원 혹은 학부과정에 개설된 전공과목을 대상으로 한다. 비동일계의 판단은 부칙에 따른다. 


제2장 장학금
장학생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의해 선발한다.
기계공학과에 배정된 인원을 전공과정에 따라 안배하여, 각 전공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교수회의를 통해 심의한 후에 주임교수가 확정한다.기타 사항은 기계공학과 내규를 따른다. 


제 3장 교과과정

제1조 (학과운영위원회) 
교과과정은 학과운영위원회에서 정하고 대학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학원장의 승인을 받는다.

제2조 (교과과정의 검토)
학과운영위원회는 학문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도록 4년에 1회이상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대학원장에게 보고한다 

부칙
(1) (기타사항) 기타 모든 사항은 대학원 학칙 및 세칙에 따라서 운영하되, 필요한 경우 기계공학과교수 합의제로 한다.
(2) (시행일) 본 내규는 2009년 3월 1일 입학생부터 시행한다. 단, 현재의 재학생은 종래의 내규에 따른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