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캠퍼스

닫기

국제캠퍼스

닫기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수여학위명 : 공학석사, 공학박사
  • 사무실 : 국제캠퍼스 공과대학 224호
  • E-Mail : gskh_ce@khu.ac.kr
  • Homepage : http://civileng.khu.ac.kr

교육목적

토목공학은 공공의 복지에 직접 공헌하는 학문으로 자연환경을 보존, 정비, 개선하여 인간에게 최적의 생활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한 사회 간접자본 시설을 개발, 조사, 설계, 시공, 유지 관리 하는 기술을 다루는 학문이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구조공학, 수공학, 지반공학, 도로공학 및 환경공학 등의 다양한 기술 분야를 포함한다. 대학원에서는 상기의 학문을 연구, 수강하여 고급기술자, 연구원, 교수 등을 배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황 및 연혁

개황
사회기반시스템공학이란 국토를 개조하고 환경을 정비해서 자연 및 사회의 각종 재해로부터 인류를 보전하며, 자연계에 존재하는 자연 자원을 인간의 복지증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설을 조사, 계획, 설계, 시공, 운용하는 공학 분야이다.

사회기반시스템공학의 분야로는 토양의 공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지반공학 분야, 교량 및 구조물을 다루는 구조공학 분야, 수자원을 관리하고 유지하기 위한 수공학 분야, 상수도, 하수도 및 유해물질 처리기술 등을 다루는 환경공학 분야, 도로, 철도 등의 도로교통공학 분야, 측량분야, 공공시설물의 시공관리 분야 등 넓고 다양하며, 대학원 과정에서도 각 분야를 광범위하고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연혁
1969년 공과대학 설립인가 (5개학과)
1970년 토목공학과 신설 (30명)
1975년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신설
1979년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신설
1983년 토목공학과 117명으로 증원
2006년 공학교육인증제 운영(토목공학전문 프로그램)
2010년 공과대학 토목공학과로 편재 개편
2013년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연구분야 및 개요

연구분야 개요
구조거동 및 위험성 평가 분야 배관 시스템, 홍수 방어 구조물, 교량,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은 시스템의 위험 평가연구
교량 분야 교량 및 일반구조물의 해석,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연구
구조시스템 분야 다양한 토목구조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주로 구조공학/도로공학/철도공학/재료공학 등을 기반으로 새로운 구조물의 개발 및 기존 구조물의 유지관리, 성능향상 등의 연구
수자원시스템 분야 물의 거동을 연구하기 위해 개수로 실험, 위어실험, 관수로실험, 레이놀드실험, 부체실험, 유속 실험을 하며 연구 분야는 하천공학, 수문학, 수리학, 수자원 공학, 유체역학 등의 연구
지반공학 분야 토목구조물 기초와 지반구조물의 설계 및 안정성 검토, 지반개량 및 부지조성, 지하공간 개발에 필요한 학문분야로, 고등토질역학, 사면안정, 지질공학, 암반역학, 토질거동론, 지반개량특론, 지반동역학, 지반해석 등을 연구
콘크리트구조 분야 교량구조, 철도구조 등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노후 구조물의 보수보강 연구 및 나노재료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다기능화 연구를 수행
환경시스템 분야 생물학적 하폐수처리, 도시 물 순환 시스템의 연구, 수중환경에서의 미량오염물질, 자연 및 공학적 시스템에서의 메타지놈, 미생물 생태학 연구
환경 분야 다양한 환경에서 독성 화학물질의 작용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오염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위한 최적의 프로세스를 개선, 개발 및 연구

전임교원

이름 직위 학위 학위수여대학 전공 연구분야 E-Mail
이석근 명예교수 공학박사 Texas A&M University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도로공학 skrhee@khu.ac.kr
이도훈 명예교수 공학박사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수공학 dohlee@khu.ac.kr
황의승 정교수 공학박사 The University of Michigan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구조공학 eshwang@khu.ac.kr
고석오 정교수 공학박사 Texas A&M University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환경공학 soko@khu.ac.kr
김성민 정교수 공학박사 Univ. of Texas at Austin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구조/재료/도로공학 seongmin@khu.ac.kr
정원석 정교수 공학박사 Purdue University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구조공학 wschung@khu.ac.kr
정영훈 정교수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지반공학 jyounghoon@khu.ac.kr
강두선 정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Arizona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수공학 doosunkang@khu.ac.kr
주부석 부교수 공학박사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구조공학 bju2@khu.ac.kr
오승대 부교수 공학박사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환경공학 soh@khu.ac.kr
남부현 부교수 공학박사 Univ. of Texas at Austin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지반공학 boohyun.nam@khu.ac.kr
김석현 조교수 공학박사 UNSW Sydney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수자원환경원격탐사 shynkim@khu.ac.kr

학과내규

제1장 총 칙

제1조 (목적)
이 내규는 본교 대학원 학칙(이하 “학칙”이라 함)이 토목공학과 대학원(이하 “대학원”이라 함)에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과정)
대학원 토목공학과는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둔다.


제2장 입학시험 및 지도교수 선정

제3조 (과정)
대학원 입학원서에는 반드시 전공과목을 기재하여야 한다.

제4조 (입학)
토목공학과과 이외의 학과에서 학위를 이수한 자가 본 학과에 입학하고자 할 때에는 본 학과 교수회의에서 입학 자격 구비 여부를 심사한다. 입학 자격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주임교수의 추천서를 입학 원서에 첨부하도록 한다.

제5조 (지도교수선정)
① 대학원 입학 후 1학기 이내에 지도교수를 선정, 지도교수 수락서를 대학원 주임교수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지도교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주임교수 및 신?구 지도교수의 승인서를 첨부하여 대학원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제3장 학점취득

제6조 (필수학점)
① 석사과정에서는 학점 취득에 필요한 24학점 중에서 전공분야 과목을 최소한 18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② 박사과정에서는 학점 취득에 필요한 36학점 중에서 전공분야 과목을 최소한 27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제7조 (이수과목)
① 학과 선수과목: 토목공학과 이외의 학과에서 학위 과정을 이수한 자가 본과에 입학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학위 이수하여야 한다. 과정 학점 취득과 관계없이 본 학과 학사 학위 과정의 전공 필수 과목 중에서 석사학위과정은 9학점 이상, 박사학위과정은 12학점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② 특수 대학원 졸업생으로서 박사학위과정에 입학한 경우에는 동일계의 경우 6학점이상, 비동일계의 경우 12학점 이상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
③ 위의 ①, ②와 관련하여 이수해야 할 학점의 교과목은 학과 교수 회의에서 의결한다. 단, 학위 과정에서 이미 동일, 또는 유사 과목의 학점을 취득한 경우에는 학과 교수 회의의 의결을 거쳐 해당 과목의 학점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④ 교차과목: 석, 박사의 각 과정 중에 타 전공과목을 한 과목 이상 수강하여 3학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한다. 단, 타 전공 수강 시 본교 교수님의 강의를 수강해야 한다.


제4장 논문지도학점

제8조 (지도교수)
논문 지도 교수의 선정은 학생의 의사를 존중하되 지도상의 균형이 필요한 경우에는 학과교수회의에서 조정할 수 있다.

제9조 (취득절차)
① 논문지도학점의 취득을 위하여서는 제2학기부터 지도교수에게 2학점씩 취득하여야 한다.
② 논문지도학점은 석사 및 박사과정 각각 4학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한다.
③ 논문지도학점 4학점을 취득한 자는 대학원 시행세칙 제27조에 의거 학위심사청구예정논문에 대한 공개발표를 지도교수의 승인을 얻어 주임교수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④ 석·박사 학위 논문 제출자는 논문 지도 기간 내에 학과에서 제출할 논문 내용을 발표하여 예비심사 형식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⑤ 박사 학위 논문 제출자는 논문 예비 발표 2주일 전까지 발표된 논문 3편을 학과에 제출하여 심사 과정을 거친 후 논문 예비 발표의 자격을 얻는다.
⑥ 발표된 논문은 최근 5년 이내의 것이어야 한다.
⑦ 이 중에서 1편 이상은 비중 있는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이어야 한다. 학과 교수회의에서 학회지 발표 논문을 평가한다.
⑧ 그 외의 논문도 해당 전문 학술지에 논문의 체제를 갖추어 발표된 것이어야 한다.
⑨ 논문 공개 발표의 심사는 논문 발표 후 학과 전체 교수들의 심사 후 전체 심의, 조정에 의해 합격, 불합격을 결정한다.


제5장 논문제출 자격시험

제10조 (응시원서제출)
각 과정의 외국어 및 전공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는 주임교수와 지도교수의 허락을 받아 응시원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11조(논문 제출 자격 시험)
① 각 학위 과정의 학생은 학위 논문 제출 이전에 논문 제출 자격 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② 외국어 시험: 영어 및 제2외국어 시험은 석, 박사 모두 1기부터 가능하다.
③ 전공시험은 석사 과정은 18학점 이상, 박사 과정은 24학점 이상 취득한 자에 한하여 응시할 수 있다.
④ 전공시험은 해당 전공의 지도 교수가 지정하는 공통과목과 응시자가 선택하는 선택과목에 대하여 필기 및 구술 시험으로 실시한다. 시험 과목 수는 석사 과정은 3과목(선택 및 필수 3과목), 박사 과정은 4과목(선택 및 필수 4과목)으로 한다.
⑤ 각 과목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80점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과락한 과목에 대하여 재응시할 수 있다.
⑥ 석사 과정 및 박사 과정은 전공 구술고사에 합격하여야 한다.


제6장 논문제출

제12조 (제출자격)
대학원 학칙 제31조 및 대학원 세칙 제28조 각호의 자격요건을 구비한 자는 학위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제13조 (논문심사위원회)
① 대학원에 논문제출을 한 후 지도교수는 논문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논문을 심사하여야 한다.
② 논문심사위원회는 석사학위과정은 3인 이상, 박사과정은 5인 이상의 교원 또는 이와 동등한 자격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전문인사로 구성한다.
③ 지도교수는 논문심사위원장이 될 수 없다.

제14조 (연구등록)
학위과정의 수료생은 학위 취득 시까지 매 학기 연구등록을 하여야 한다.

제15조(학과활동참가)
본 학과의 석, 박사 과정 학생의 각 과정별로 학부에서 주관하는 과 전체 모꼬지나 정기 학술답사에 2회 이상 참가하여야 한다. 논문 학점 점수에 참가 여부를 반영한다.


제 7장 장학금

장학금은 일반장학금과 기금장학금으로 구분한다. 장학생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의해 선발한다.
일반장학금은 재학생으로 직전학기 6학점이상 취득한 전공별 성적우수자로 품행이 방정하고 학사 일정을 준수한 자로 한다. 기금장학금의 경우 장학재단이 요구하는 선발기중에 준하며 주임교수가 추천한다. 과에 배정된 인원을 전공을 안배하여, 각 전공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주임교수가
확정한다.


제 8장 교과과정

제1조 (학과운영위원회)
교과과정은 학과운영위원회에서 정하고 대학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학원장의 승인을 받는다.

제2조 (교과과정의 검토)
학과운영위원회는 학문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도록 4년에 1회이상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대학원장에게 보고한다.


附 則


① 기타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례에 따른다.
② 본 내규는 2003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