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울캠퍼스

닫기

국제캠퍼스

닫기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 Engineering for Information & Electronics

  • 수여학위명 : 공학석사, 공학박사
  • 사무실 : 국제캠퍼스 공과대학 224호
  • E-Mail : gskh_amie@khu.ac.kr
  • Homepage : http://amie.khu.ac.kr

교육목적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는 국가 주력산업인 전자 및 반도체, 정보디스플레이, 에너지 산업 분야의 핵심인 정보전자 관련 유무기 신소재 분야를 학문적으로 새롭게 발전시키는 한편,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관련 산업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최신 기술동향과 실험실습이 강화된 맞춤형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신소재 분야의 복합적인 전문지식을 갖춘 우수한 인재들을 양성하고 있다. 본 전공은 물리, 화학 등의 기본 학문을 바탕으로 고분자, 금속, 세라믹 등의 기존 소재는 물론, 이를 융합적으로 발전시켜 미래 성장 동력 산업의 주축인 IT/NT/BT/ET용 신소재의 개발과 응용 및 산업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교육과정으로 다루고 있어 졸업생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개황 및 연혁

http://amie.khu.ac.kr

연구분야 및 개요

연구분야 개요
기능성 전자소자 신소재 개발을 통해 확보한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차세대 정보전자 분야의 핵심 디바이스에 응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전자소자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재료기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현하는 정보전자 소자 기술에 대한 이론을 교육하고, 실무를 포함한 소자 개발을 진행한다.
나노 신소재 최근 나노기술은 전기 전자, 자동차, 의료, 석유화학 등의 주요 산업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나노기술이 접목된 신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나노기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요구되는 나노신소재를 연구한다.
디스플레이 재료 물리, 화학, 응용화학, 재료공학, 광학, 전자공학 등의 물질에 대한 이론적인 학문을 융합하여 차세대 성장 동력산업의 하나인 디스플레이재료 분야를 학문적으로 새롭게 발전시키고, 관련 재료의 합성, 소자의 개발, 특성평가와 공정의 개발 등을 포함한 관련 학문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전자정보 신소재 전자정보기술은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위한 핵심기술로서 향후에도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인력양성이 필요한 분야이다. 전기, 전자 및 정보산업에 필요한 핵심 신소재에 대한 이론 및 실무를 교육한다.

전임교원

이름 직위 학위 학위수여대학 전공 연구분야 E-Mail
강성준 조교수 이학박사 연세대학교 물리학 플렉시블 나노소재/소자 junkang@khu.ac.kr
김갑진 교수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섬유공학 고분자 전자재료 kjkim@khu.ac.kr
김한기 부교수 공학박사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 박막기술/투명반도체재료 imdlhkkim@khu.ac.kr
김홍두 교수 이학박사 Univ. of Wisconsin 화학 전자재료 hdkim@khu.ac.kr
송기국 교수 공학박사 University of Michigan 공업화학 고분자 디스플레이재료/분광학 ksong@khu.ac.kr
유영민 조교수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재료공학 분자 광전자 odds2@khu.ac.kr
유재웅 부교수 이학박사 Univ. of Connecticut 고분자과학 유연/유기 전자소재 및 소자 jwyu@khu.ac.kr
윤성민 부교수 공학박사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무기재료공학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자 sungmin@khu.ac.kr
이준열 교수 공학박사 Pennsylvania State Univ. 고분자공학 고분자나노/하이브리드소재 jylee@khu.ac.kr
최석원 부교수 공학박사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유기재료공학 유기 광학재료 schoi@khu.ac.kr

학과내규

제1장 총 칙 

제1조 (목적)
정보전자신소재 공학과 대학원 석, 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은 우선 대학원 학칙을 준수하고 동시에 학과에서 정한 내규를 따라야 한다.

제2조 (과정)
정보전자신소재 공학과는 석사과정, 박사과정을 둔다.


제2장 입학시험 및 지도교수 선정

제3조 (입학지원자격)
①정보전자신소재 공학 대학원의 지원 자격은 화학공학, 재료공학, 신소재공학, 물리, 화학, 전자공학 학부 전공자를 원칙으로 하며 이와 유사한 학과출신의 경우 학과 교수회의에서 그 자격을 인정하는 자이어야 한다.

제4조 (입학전형방법) 
무시험을 원칙으로 서류심사와 면접을 활용하여 전형한다.

제5조 (지도교수선정)
① 대학원 입학 후 1학기 이내에 지도교수를 선정, 지도교수 수락서를 대학원 주임교수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지도교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주임교수 및 신규 지도교수의 승인서를 첨부하여 대학원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제3장 학점취득

제6조 (이수과목)
① 정보전자신소재 공학과 대학원 학생은 논문지도학점을 제외한 교과학점의 경우 석사과정은 24학점 중 18학점이상을 그리고 박사과정은 36학점 중 27학점 이상을 정보전자신소재 공학과 전공선택 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다만, 지도교수 및 주임교수의 승인을 득하여 인접 학문분야의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한 경우,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다.
② 비전공 학부졸업자가 정보전자신소재 공학과 석사 또는 박사과정에 입학한 경우, 대학원 학칙 및 세칙 제 3조 및 10조에 따른다.
참고) 대학원 학칙 10 조

제10조 (입학전공분야) 석사학위과정과 통합과정 및 박사학위과정의 전공분야는 하위학위과정에서 이수한 전공분야와 동일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다만, 연계과정의 경우 석사과정의 전공은 학사과정의 주전공, 복수전공, 연계전공 중 하나와 일치하여야 한다.


제4장 논문지도교수 및 논문지도학점

제7조 (논문지도교수)
정보전자신소재 공학과 대학원 학생의 지도교수 배정은 대학원 학칙 및 학과 교수회의의 의결에 따라 대학원 주임교수가 집행하되, 재학 중 부득이 지도교수를 변경할 경우 새로운 지도교수 밑에서 1년 이상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제8조 (논문지도학점)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각 과정은 논문지도학점(공개발표) 2학점을 취득하여야한다.


제5장 논문제출 자격시험

제9조 (응시원서제출)
각 과정의 외국어 및 전공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는 주임교수와 지도교수의 허락을 받아 응시원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10조 (논문제출자격시험 과목)
① 각 학위 과정의 학생은 학위 논문 제출 이전에 논문 제출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② 외국어 시험 및 전공시험: 석, 박사 모두 1기부터 가능하다.
③ 전공시험 과목 수는 석사 과정은 3과목, 박사 과정은 4과목으로 한다. 
④ 각 과목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80점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과락한 과목에 대하여 재응시할 수 있다.


제6장 논문제출

제11조 (졸업자격)
정보전자신소재 공학과 대학원 학생은 대학원 학칙에 의하여 실시하는 논문제출자격시험에 통과하는 것과 함께 다음과 같은 요건들을 충족해야 한다.

석사과정
1) SCI, SCIE급 및 국내 학술 등재지에 논문 게재 또는 게재확정 1회 이상. 
2) 논문심사위원회에서 공개발표 1회 이상.

박사과정 
1) SCI, SCIE급 학술지에 주저자 논문 게재 또는 게재확정 2편 이상.
2) 논문심사위원회에서 공개발표 2회 이상.

제12조 (논문심사위원회) 
① 대학원에 논문 제출을 한 후 지도교수는 논문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논문을 심사하여야 한다.
② 논문심사위원회는 석사학위과정은 3인 이상, 박사과정은 5인 이상의 교원 또는 이와 동등한 자격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전문인사로 구성한다. 
③ 지도교수는 논문심사위원장이 될 수 없다.
④ 박사과정은 1인 이상의 외부 전문 인사를 포함한 논문 심사 위원회를 구성한다.

제13조 (연구등록) 
학위과정의 수료생은 학위 취득 시까지 매 학기 연구등록을 하여야 한다.


제 7장 장학금
장학생은 과에 배정된 인원을,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주임교수가 확정한다.


제8장 학과운영위원회 및 교육과정 검토

제1조(학과운영위원회)
학과운영위원회는 대학원 주임교수와 그 외의 교수 2인의 총 3인으로 한다. 2인은 교수회의에서 추천한다.

제2조 (교과과정의 검토)
학과운영위원회는 학과의 제반사항에 대해서 심의하고, 교육환경과 국가인력수요를 고려하여 최소 4년에 1회 이상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대학원장에게 보고한다.


제10장 (기타사항)
본 정보전자신소재 공학과 대학원 내규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학과 교수회의에서 토의하여 결정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