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에 응용되는 공학의 기본 이론을 심층적으로 학습하고 실험과 프로젝트를 통하여 실질적인 연구 개발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의료기기, 의료영상, 의료정보, 노인 및 장애인 재활공학 등 관련분야에서 전문가를 양성하여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생체의공학, 즉 의학에 적용되는 공학은 전자/전기/기계/재료공학 등 여러 관련분야가 모여 이룬 복합분야(interdisciplinary area)이다. 따라서 본 학과에서는 학부에서 기본적인 의학이나 공학, 또는 기타 유관 전공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서의료공학에 대한 전문 지식을 교육한다. 졸업 후, 생체의공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융합적 마인드를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배양하며, 실험 실습 위주의 교육을 통하여 실무 적응 능력을 높인다.
"생체의공학과는 1998년도에 의료시스템공학부로 시작해서, 동 학부 내에 국내 최초로 한방시스템공학전공으로 40명의 신입생을 선발하였습니다. 학사조직 개편에 따라 1999년부터는 전자정보학부 소속의 한방시스템공학과로 편입되었고, 2002년부터는 동서의료공학과로 학과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융합적인 학문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여 2011년부터는 생체의공학과로 학과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생체의공학은 의학 및 보건에 응용되는 공학기술을 다루는 학문이며, 질병의 진단, 치료 및 예방과 재활에 사용되는 각종 의료시스템, 의료정보, 생체재료, 인공장기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며 더 나아가 일상생활에서의 건강 증진, 질병 예방에 필요한 모든 시스템들을 연구합니다. 본 학과는 생체의공학의 여러 분야를 융합하여 창조적인 설계를 할 수 있는 공학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과과정을 융합 지향적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이름 | 직위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연구분야 | |
---|---|---|---|---|---|---|
강곤 | 교수 | 공학박사 | 스탠포드대학교 (Stanford University) | 기계공학 | 생체역학, 재활공학 | gkhang@khu.ac.kr |
이수열 | 교수 | 공학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AIST) | 전자공학 | MRI, fMRI, micro-CT, 생체자기시스템 | sylee01@khu.ac.kr |
조민형 | 교수 | 공학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AIST) | 전자공학 | 의료영상처리, 자기공명영상시스템 | mhcho@khu.ac.kr |
한승무 | 교수 | 공학박사 | 뉴욕주립대학교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 기계공학 | 초음파 의료영상, 혈류 모니터링 시스템 | smhan@khu.ac.kr |
김태성 | 교수 | 공학박사 |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의공학 | 의료영상, 신호/영상처리, 패턴인식 | tskim@khu.ac.kr |
박경모 | 교수 | 한의학박사 | 경희대학교 (KyungHee University) | 한의학 | 뉴로이미징, 통합의학, 의료정보 | saenim@khu.ac.kr |
변경민 | 부교수 | 공학박사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전기컴퓨터공학 | 바이오포토닉스, 신경공학, 생체전자 | kmbyun@khu.ac.kr |
최성용 | 조교수 | 공학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AIST) | 바이오 및 뇌공학 | 나노바이오공학, 미세유체역학 | s.choi@khu.ac.kr |
이상민 | 조교수 | 공학박사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전기컴퓨터공학 | MEMS, 생체전자소자, 신경공학 | sangmlee@khu.ac.kr |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